검찰개혁 촛불집회 주최 측이 오는 12일 서울 서초동 일대에서 일명 ‘최후통첩 집회’를 열기로 했다. 이들은 이번 주 토요일을 기점으로 집회를 일단 멈추고, 조국 법무부 장관을 수사 중인 검찰의 행보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검찰개혁 촛불집회를 이끈 이종원 시사타파TV 대표는 “12일 최후통첩 촛불집회를 하고, 검찰의 행보를 관망할 것”이라며 “앞으로 집회를 이어갈지 말지는 검찰에 달려있다”고 7일 밝혔다. 이 대표는 이날 아프리카TV 방송에서도 “다음 집회를 마지막으로 끝낼 것”이라며 “우리는 문재인 대통령과 조 장관에게 충분한 힘을 실어줬다. 박수칠 때 떠나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주최 측이 실제로 12일에 집회를 마무리할지는 미지수다. 이 대표는 “(경찰에) 집회 신고는 충분히 해놓은 상태”라며 “12일 대규모 집회 후에도 검찰이 납득할 수 없는 행동을 하면 집회는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조 장관 일가에 대한 검찰의 수사 진행 상황에 따라 집회 개최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는 방송에서도 “최후통첩 집회에서 (시민들의) 무서움을 보여주고 ‘우리는 또 다시 모인다’ 이런 이야기를 전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12일 촛불집회에 최대 인파를 결집시키려는 주최 측의 ‘노이즈 마케팅’ 전략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이 대표는 방송에서 “‘최후통첩’, ‘마지막’이라고 하면 5일 집회보다 더 많이 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경찰 관계자는 “이미 세가 불어나서 과연 집회를 끝낼 수 있을지 의문스러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한편 7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서초동 집회를 금지해달라’는 청원이 올라왔다. 청원인은 “서초동은 주민들이 사는 주거지역”이라며 “집회 때 도로를 막아놔 집에도 못 가게 하는 상황을 만들어놨다. 소음 공해도 심각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집회로 세를 과시하는 건 이제 그만하고 집회 장소를 제한적으로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청원에는 이날 오후 11시 기준 4300여명의 동의를 얻었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