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다, 정부 택시개편안 정면 돌파 선언…“내년까지 차량 1만대로 늘리겠다”

입력 2019-10-07 16:49
박재욱 VCNC 대표가 7일 서울 성동구에서 타다 1주년 미디어 데이 행사를 열고 사업 구상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VCNC 제공

렌터카 기반 차량호출 서비스 ‘타다’가 출시 1주년을 맞아 대규모 사업 확장 계획을 발표했다. 현재 1400대 수준인 차량을 내년까지 1만대로 확대하고, 드라이버 역시 9000명에서 5만명으로 대폭 늘린다는 포부다. 타다가 목표로 내건 운행 대수는 국토교통부의 ‘택시제도 개편방안’에 담긴 플랫폼 택시의 총량제 범위를 크게 넘어서는 수치로, 정부안을 정면 돌파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타다 운영사 VCNC 박재욱 대표는 7일 서비스 1주년 기자간담회를 열고 “타다는 서비스 론칭 1년 만에 차량호출 수가 16배 늘었고, 가입회원 125만명, 운행 차량대수 1400대를 돌파했다”며 “내년 말까지 차량 1만대를 확보해 모빌리티 생태계를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박 대표는 구체적인 서비스 확대 방안과 시기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현재 수도권을 중심으로 운영 중인 서비스 지역을 수요에 맞춰 전국으로 확대하면 이러한 목표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서비스 지역 확장 지역은 타다가 지난 1년 동안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수집한 차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요구와 사업성 등을 고려해 정한다는 방침이다.

국토부가 승차공유 차량 운행 대수를 제한하겠다고 나선 상황에서 운행 차량을 10배 가까이 늘리겠다고 발표한 것은 정부안에 대해 공개 반대 의사를 밝힌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정부안은 택시 감차 추이와 이용자 수요 등을 고려해 택시 수의 총량을 정하면 플랫폼 사업자가 기여금을 내고 면허를 확보해 정부의 허가를 받는 방식이다. 구체적인 차량 대수와 기여금 규모 등에 관한 내용은 시행령을 비롯한 하위 법령에 담을 계획이다.


박 대표는 이러한 국토부의 택시개편안에 대해 비판 입장도 나타냈다. 박 대표는 “국토부가 충분한 논의를 하지 않은 채 시행령을 위주로 법을 개정한다고 하면 다시 잡음과 갈등이 발생할 것”이라며 “(국토부 안대로라면) 굉장히 큰 입법규제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그는 택시 총량 제한과 플랫폼의 사회적 기여금 등이 법안으로 발의될 경우 신규 모빌리티 사업자의 다양한 서비스 출시 시도를 막을 것이라는 지적도 이어갔다. 박 대표는 “모빌리티 플랫폼 서비스는 운영 대수 등 사업적 판단을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동적으로 정할 수밖에 없다”며 “모빌리티 산업에는 경차나 전기차 등도 있는데 차량 대수만을 기준으로 법제화하면 단편적 서비스만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7월 국토부는 타다 등 플랫폼 사업자를 제도권으로 편입하는 대신 허가 총량을 정하는 내용의 ‘혁신성장과 상생발전을 위한 택시제도 개편방안’을 내놨다. 이후 택시업계와 플랫폼 업계가 참여하는 2차례 실무기구 회의를 열었으나 렌터카 허용 여부 등을 놓고 이견이 좁혀지지 않았다. 국토부는 이번 정기 국회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여객운수사업법 개정안을 마련해 법안 발의를 추진할 방침이다.

박 대표는 이날 국토부가 법제화를 강행해도 공격적인 서비스 확대를 이어간다는 의지도 밝혔다. 박 대표는 “이용자 수에 맞는 공급을 위해 자금이 더 필요하다면 외부 자금을 수혈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지금은 투자 단계지만 규모의 경제를 갖게 되고 사용자가 늘어나면 충분히 수익을 더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토부는 타다의 사업 구상에 대해 “지난 3월 사회적 대타협에 따라 새로운 플랫폼 운송사업 제도화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차량 1만대 확장을 발표한 것은 그간의 논의를 원점으로 되돌리고 사회적 갈등을 재현시킬 수 있는 부적절한 조치”라고 공개 비판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