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촛불집회, 당 차원 동원 없는 ‘광장 민주주의’…숫자 논쟁 무익”

입력 2019-10-06 16:28 수정 2019-10-06 16:29
5일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열린 촛불집회 전경.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은 5일 서울 서초구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인근에서 열린 검찰개혁 촛불집회가 ‘국민의 자발적 참여’로 이뤄졌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진영 간 ‘세(勢) 대결’ 양상으로 비춰지는 것을 경계했다.

이해식 민주당 대변인은 6일 논평을 내고 “전날 촛불집회 주최 측은 ‘셀 수조차 없는 많은 사람’이 참여했다고 밝혀 무익한 숫자 논쟁에 종지부를 찍었다”며 “서초동 촛불집회가 범보수 진영과의 세 싸움이 아니라 검찰개혁의 시대적 당위성을 드러내는 ‘국민의 뜻’이라는 선언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그는 “검찰개혁이라는 시대적 과제에 공감하는 국민들의 자발적 참여로 이뤄진 ‘광장 민주주의의 부활’이다. 광장에는 오직 평화와 질서, 적폐에 대한 심판과 개혁의 요구가 있었을 뿐”이라며 “검찰개혁 촛불집회가 특정한 진영을 대표한다고 하는 협애한 관점에 우리는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민주당은 촛불집회에 참여한 국민의 목소리를 엄중히 듣고 있다”며 “민주당은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에 올라 있는 검·경 수사권 조정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를 위한 법안 통과뿐 아니라 검찰이 스스로 거듭날 수 있는 보다 진전된 개혁안을 제안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국민들과 함께 혼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이해식 더불어민주당 대변인. 뉴시스

민주당은 특히 당 차원에서 집회 참가를 독려하지 않았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 대변인은 “지난번 광화문 집회에는 엄청 동원돼 모이지 않았느냐. 세 대결 양상으로 가면 집회의 의미 자체를 폄하하는 것”이라며 “국민들은 대의민주주의가 실종돼 광장에 나온 것이 아니라 검찰개혁과 패스트트랙 법안을 확실히 처리하라고 정치권에 메시지를 준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부분의 의원이 조직 동원 등 불필요한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 집회 참여를 자제했고 당 차원에서 일체의 동원령도 없었다”고 주장했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서초동 촛불집회를 정권이 주도한 ‘관제집회’라고 재차 비판했다. 전희경 한국당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검찰개혁을 표방한 ‘조국 비호 집회’는 대통령과 청와대, 집권당이 앞장선 사실상의 관제집회”라며 “특히 어제는 조국의 아내, 정경심 교수가 2차 소환조사를 받고 조서를 검토하던 때라 수사를 진행하는 검찰이 받았을 압박은 미루어 짐작하고도 남는다”고 지적했다.

전희경 자유한국당 대변인

전 대변인은 “더욱더 놀라운 사실은 조국 본인이 서초동 집회를 자신의 SNS 프로필 사진으로 변경했다는 것”이라며 “여론을 선동하고 자신의 지지 세력에 기대려고 하는 모양새를 보니 가히 역대급 위선자답다”고 비판했다.

조 장관은 5일 오후 11시쯤 자신의 페이스북 프로필 사진을 촛불집회 장면으로 교체하고 “오마이뉴스 사진부 작품”이라는 설명을 달았다. 이후 50분쯤 뒤 다시 본인 사진으로 프로필 사진을 바꿨다.

전 대변인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한민국은 국민들이 쪼개져서 서로 다투고, 분열하고, 세 과시를 해야 하는 대한민국으로 전락했다”며 “그러는 사이 중요한 국정은 오갈 데 없이 ‘조국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 불행한 사태를 바로 잡아야 하는 것 역시 문 대통령의 역할”이라며 “조국을 즉시 파면하고 엄정한 수사를 받을 수 있도록 대통령이 협조하라”고 촉구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