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르신 ‘잠자는 예금’ 3085억원 “집으로 방문해 찾아줍니다”

입력 2019-10-06 14:59
홀로 사는 어르신. 연합뉴스

‘잠자는 재산’을 온라인으로 확인하거나 직접 찾아가기 어려운 노인들을 대상으로 정부가 휴면재산 방문 조회·지급 서비스를 시행한다. 노년층은 전체 휴면재산 중 21%(3085억원)를 보유하고 있다.

금융위원회와 보건복지부는 올해 말까지 복지부의 ‘노인 돌봄 기본 서비스’를 통해 독거노인의 휴면재산을 찾아준다고 6일 밝혔다. 노인 돌봄 기본 서비스는 만 65세 이상 취약 독거노인 약 30만명을 생활관리사가 정기적으로 방문하거나 유선 연락을 통해 안전을 확인하고 돌보는 정책이다.

생활관리사들은 독거노인을 돌보는 한편 휴면예금 조회신청서 작성을 돕고, 신청서를 서민금융진흥원이나 각 금융권 협회에 제출해준다. 이후 진흥원과 각 협회에서 개인정보로 휴면재산을 조회한 뒤 문자 등을 통해 결과를 어르신들에게 알린다.

찾아가는 고령층 휴면재산 조회ㆍ지급서비스 절차. 금융위원회 제공

본인이 직접 금융회사 지점을 찾아 받는 것이 원칙이지만, 거동이 불편한 경우 등에 한해 대리 수령 등 다른 방법으로 받아볼 수도 있다. 정부는 올해 말까지 계획된 노인 돌봄 기본 서비스를 통해 우선 휴면 자산을 찾아준 뒤 내년에는 지원 대상을 고령층, 장애인 전반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금융권에서 고객 휴면재산 지급 노력을 하고 있지만, 연락처 변경 등으로 금융회사와 오랜 기간 왕래가 없는 고객들의 휴면재산이 계속해서 쌓이고 있다. 장기간 거래가 없어 금융사에서 서민금융진흥원에 출연한 돈은 2008년 2704억원에서 올해 8월 말 1조3348억원으로 급증했다.

전체 휴면재산 중 21%(3085억원)를 차지하는 노년층은 인터넷을 잘 이용하지 못해 온라인 휴면재산 조회 서비스를 이용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