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상위 1만8000명이 번 돈, 하위 324만명과 맞먹어

입력 2019-10-06 10:25 수정 2019-10-06 13:23
김정우 의원이 지난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에게 질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근로소득자 중 ‘상위 0.1%’는 약 1만8000명으로 연평균 8억원을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근로소득은 중위 소득자의 31배가 되고, 이들 1만8000명이 벌어들인 근로소득은 하위 17%까지인 324만명의 근로소득과 맞먹는 수준이다.

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정우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세청의 ‘귀속 근로소득 천분위’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7년 상위 0.1%(1만8005명)의 연평균 근로소득(총급여 기준)은 8억871만원이었다.

근로소득 천분위는 지난해 2017년 국내 근로소득자 1800만5534명의 소득을 백분위보다 더 잘게 쪼개 나타낸 분포로 구간 내 소득자 간 차이는 줄고 구간별 소득 격차는 더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

소득이 딱 중간인 50% 구간(중위소득)의 근로자들은 연간 2572만원을 벌었다. 상위 0.1%가 중위 소득자보다 31.4배 더 버는 셈이다. 월평균으로 따지면 상위 0.1%는 매달 6739만원을 벌었다. 중위 소득자의 월평균 근로소득은 214만원이었다.

상위 0.1%의 총 근로소득은 14조5609억원으로, 전체 근로소득자 총급여(633조6114억원)의 2.3%에 해당했다. 1만8000명에 불과한 상위 0.1%가 상위 83~100%(하위 17% 구간·324만997명)의 총 근로소득(15조4924억원)과 맞먹는 돈을 벌어들인 것이다.

상위 1% 구간(18만55명)의 연평균 근로소득은 2억6417만원, 상위 10% 구간(18만55명)은 7557만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상위 1%의 총 근로소득은 47조5652억원으로 전체의 7.5%를 차지했고, 상위 10%(180만553명)의 총 근로소득은 202조9708억원으로 전체의 32.0%에 달했다.

2017년 전체 근로자 1800만5534명의 1인당 연평균 근로소득은 3519만원이었다. ‘결정세액 0원’의 면세자 구간인 하위 22%에 속하는 414만1273만명의 1인당 연평균 근로소득은 628만원에 불과했다.

김 의원은 “통계에 잡히지 않는 일용직과 아르바이트 등을 포함하면 실제 근로소득 양극화는 더 심각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국민소득 3만 달러의 성과가 국민이 실제 체감하는 소득 효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양극화를 해소하고 내수 경제 선순환을 유도하는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견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