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김포 돼지 전량 수매·예방적 살처분 대책에 농장주 반발

입력 2019-10-04 23:14

정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집중적으로 발생한 경기도 파주시와 김포시 등의 사육 돼지를 수매하거나 예방적 살처분을 하는 특단의 대책을 들고 나온 가운데 파주의 일부 농장들이 보상가격 현실화 등을 요구하며 반발하고 있다.

지난 3일 농림축산식품부는 파주시와 김포시의 사육 돼지 전량 수매와 수매 대상이 아닌 돼지는 살처분하겠다고 밝혔다. 인천 강화군처럼 지역 내 모든 사육돼지를 없애겠다는 뜻이다.

파주시와 김포 두 지역의 사육 돼지는 13만5000 마리에 달한다. 파주시 문산읍에서 12차(2300여 마리), 김포시 통진읍에서 13차(2800여 마리) ASF가 확진되자 특단의 조치를 내린 것이다. 파주시와 김포시는 각각 5곳, 2곳의 농장에서 확진 사례가 발생했다.

4일 수매 및 예방적 살처분을 위한 동의서를 받는 과정에서 파주시 농장주들은 보상가의 현실화와 생계비 지원까지 이뤄져야 한다는 이유를 들며 반발하고 나섰다. 정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전 5일간 도매시장 평균 가격을 수매단가로 정했기 때문이다.

이윤상 대한한돈협회 파주시 지부장은 “ASF 발생으로 경락단가가 폭락해 살처분 또는 도축일 기준 경락단가 보상이 아닌 현실적인 보상가가 책정되야 한다”며 “농가들의 생계 유지를 위해 재입식을 보장하고 재입식 기간이 길어질 것을 생각해 생계비 또한 반드시 지원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농가에게 폐업을 유도한다면 양돈 기반이 사라지는 만큼 현실화된 폐업보상금을 책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이날 (오후 6시 기준)수매 및 살처분에 동의하는 파주시 양돈 농가는 전체 63농가(5만4149마리) 중 30농가(1만8869마리)만 동의한 상황이다. 시는 나머지 33농가를 설득 중에 있다.

파주시 관계자는 “정부가 지역내 돼지 전량 수매와 살처분 대책을 세워 농장주를 설득하고 있지만 협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라며 “농림부가 세운 지자체 별 수매와 예방적살처분 현황판 설치계획은 유보적인 입장으로 아직 미정이다. 국가 방역시책을 강하게 추진하는 과정에서 나온 사항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파주=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