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희 의원 “문 대통령 기억력 걱정” 막말에 복지위 파행

입력 2019-10-04 14:24 수정 2019-10-04 14:45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가 김승희 자유한국당 의원의 ‘문재인 대통령 건망증’ 발언으로 한때 중지됐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복지위 위원들은 “국가원수에 대한 모독이고 명예훼손”이라며 김 의원의 사과를 요구했다.

김 의원은 4일 열린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국정감사 질의에서 “우리나라 치매 환자가 54만 명쯤 된다. 치매와 건망증이 의학적으로 다르다고 하지만, 건망증이 치매 초기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며 운을 뗐다.

이어 개별 대통령기록관 논란을 언급하며 “국민들은 가족의 치매를 걱정함과 동시에 대통령의 기억력 문제를 많이 걱정하고 있다”며 “개별 대통령기록관을 짓는다는 보도에 ‘대통령이 불같이 화냈다’는 청와대 대변인의 발표가 있었는데, 그 전에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전용 기록관 건립 계획을 직접 심의·의결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주치의뿐만 아니라 복지부 장관도 문 대통령 기억을 잘 챙기셔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민주당 의원들은 즉각 반발했다. 민주당 간사인 기동민 의원은 “대통령이 건망증 아니냐, 치매 유관성이 있는 것 아니냐는 것은 조롱이자 노골적 폄훼”라고 지적했다. 기 의원은 “신성한 국감장에서 일국의 대통령을 인신공격할 수 있는지 모르겠다. 상식을 가진 국회의원인지 납득할 수 없다”고 목소릴 높였다.

이에 김 의원은 “내가 치매 환자라고 말한 적이 없다. 국회의원에게는 표현의 자유와 의정활동에 자유가 있다”며 맞받아쳤다.

약 30분간 고성이 오가다 감사가 중지됐다. 민주당 복지위 위원들은 국회 정론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김 의원의 사과와 복지위 위원 사퇴를 촉구했다. 또 김 의원을 윤리위원회에 제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기 의원은 “문 대통령에 대한 의도적인 허위 날조 발언으로 파행을 겪고 있다”며 “김 의원은 ‘국민이 대통령 기억력 문제를 많이 걱정한다’며 마치 대통령이 치매 초기인 것처럼 날조된 주장을 거듭 반복했다”고 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 의원이 사과하지 않을 경우 파행 가능성을 거론하며 “납득할만한 조치가 없을 땐 결단을 내리겠다”고 했지만 오후 2시에 속개된 국감에서 “국감은 국감대로 진행하고, 후속 조치는 후속 조치대로 진행하겠다”며 감사를 이어갔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