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개혁을 촉구하는 서초동 촛불집회와 조국 법무부 장관 퇴진을 요구하는 광화문 집회로 세(勢) 대결이 심화하는 상황속에서 문희상 국회의장은 “국론 분열이 한계선을 넘는 매우 위중한 상황임을 인식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박지원 대안신당 의원도 “언제까지 이렇게 광장의 정치, 거리의 정치를 할 것이냐”며 정치권을 비판했다.
문 의장은 4일 국회에서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정치 지도자라는 분들이 집회에 몇 명이 나왔는지 숫자 놀음에 빠져 나라가 반쪽이 나도 관계없다는 것 아니냐”며 “분열의 정치, 편 가르기 정치, 선동의 정치가 위험선에 다다랐다”고 말했다고 한민수 국회 대변인이 밝혔다.
이어 “태풍과 아프리카 돼지 열병으로 국민의 상심과 피해가 매우 크다”며 “국민은 국회와 정치권만 바라보고 있는데 국회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지 참담한 심정이다. 민생은 내팽개치고 진영싸움에 매몰돼 있는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문 의장은 “서초동과 광화문의 집회로 거리에 나선 국민의 뜻은 충분히 전달되었다”며 “이제 국회에서 답을 내야 한다. 여야 정치권이 자중하고 민생과 국민통합을 위해 머리를 맞대기를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
같은 날 박 의원도 “국회로 돌아와야 한다”고 주문했다. 박 의원은 CBS 라디오에 출연해 “어제 광화문 인파가 서초동보다 훨씬 많았던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서초동도 민심이고 광화문도 민심이다. 그러나 언제까지 거리의 정치를 할 수는 없다. 소는 누가 키울 것이냐”며 우려를 전했다.
박 의원은 “민주당과 한국당 모두 반성해야 한다”며 “200만, 300만에 들어가지 않은 나머지 4500만 국민은 무엇이냐. 대의정치인 국회에서 코피가 터지더라도 민생경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민주당은 최고위원회의에서 개천절 촛불집회를 ‘동원 집회’로 규정하며 비판했다. 한국당은 지난달 28일 열린 서초동 촛불집회에 200만이 참석했다고 언급한 민주당을 향해 “민주당이 숫자 부풀리기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국당은 개천절 촛불집회에 참석한 인원을 300만가량으로 추산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