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도서지역 해안가 등에 해양쓰레기가 늘어나면서 해양오염 예방이 적극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쓰레기 배출량이 가장 많으면서도 수거가 어려운 전남의 섬 지역에 정화운반선 지원을 확대하는 등 체계적인 수거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3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완주의원(충남, 천안을)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해양쓰레기 수거 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적으로 총 9만5000t의 해양쓰레기가 수거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자체 수거량 8만6000t과 공단 수거량 9000t을 합산한 수치다.
광역시도별 해양쓰레기 수거량을 살펴보면 전남이 3만2618t으로 전체(8만6621t)의 37.7%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경남 13.7%(1만1856t), 제주 13.6%(1만1740t), 충남 13.2%(1만1471t), 강원 5.2%(4521t)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국 유인도서 470곳 가운데 276곳(58.7%)을 차지하고 있는 전남의 해안 길이당 쓰레기 분포 조사 결과 유인도가 3.8t으로 육지부 0.9t 보다 4배 이상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해양수산부가 다목적 정화 운반선 건조 비용을 지원하는 ‘도서 지역 쓰레기 관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수요(지자체 7곳서 12척 신청)와 비교해 내년 정부 예산(6척 지원 가능)은 부족한 실정이다.
해양쓰레기 처리의 90% 이상을 지자체가 책임지고 있지만, 해수부가 지원하는 해양쓰레기 처리 사업의 국고 보조율도 낮다.
박 의원은 “해수부는 재정당국과 협의해 접근이 어려운 도서 지역에 정화운반선 지원을 확대하고 해양쓰레기 사업의 국고 보조율을 올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안=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
해양쓰레기 전남이 최다, 지난해 9만5000t···오염 예방 시급
입력 2019-10-03 1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