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이 지난해 정상 간 통화 등 기밀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보안 시스템을 강화했다고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가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통화 내용 유출로 ‘우크라이나 스캔들’이 불거진 가운데 나온 보도여서 관심이 쏠린다.
폴리티코에 따르면 백악관 국가안보보장회의(NSC)는 지난해 봄 내부 정부공유 체계인 NICE를 일부 개편했다. 이용자가 특정 문서를 열람할 경우에도 접속 기록을 남기도록 하는 기능을 새로 추가했다. 기존에는 자료를 업로드·다운로드한 사람이 누구인지만 파악할 수 있었을 뿐, 열람만 한 경우에는 별도로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
강화 작업은 트럼프 대통령이 오스트레일리아와 멕시코 정상과 했던 통화 내용이 워싱턴포스트(WP)에 보도된 이후에 이뤄졌다. 이 사건 때문에 전면적인 유출자 조사가 이뤄졌으며 트럼프 대통령과 참모들 사이의 불신도 커졌다고 한다. 과거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통화 녹취록은 NSC 직원 전원이 접속할 수 있는 공유 드라이브에 저장됐었다. 당시에는 녹취록 유출이 일어날 위험이 높았다고 전직 트럼프 행정부 백악관 관리가 전했다.
전문가들은 대통령의 통화 녹취록이 극도의 보안에 부쳐지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2011년 오사마 빈 라덴 암살 작전 수준의 비밀 정보면 몰라도, 일상적으로 이뤄지는 정상 간 통화를 보안 시스템에 저장할 필요성은 낮다는 것이다.
전직 미 행정부 관리에 따르면 이 기능은 특히 트럼프 대통령과 해외 정상 간 통화 내용 유출을 막기 위해 새롭게 추가된 것으로 전해졌다. 때문에 시스템 개편이 보안 강화보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부적절한 발언이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의도가 아니었느냐는 해석도 나온다. 이는 불법 행위는 아니더라도 보안 시스템을 오용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고 보안 전문가와 전직 행정부 관리들이 설명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