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든지 멘토가 되겠습니다.”
경북도내 농업명장들이 초보농부들에게 자신의 ‘비법’을 아낌없이 전수하면서 이들의 정착을 돕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경북도는 1일부터 2일까지 청년농업인, 예비 귀농인 등 24명을 대상으로 ‘2019 농업명장 현장 순회교육’을 실시했다. 지난 2011년 시작된 이 교육은 올해 9년째며 그동안 370여명이 교육을 받았다.
현장실습 교육 첫째 날 초보농부들은 안동 권기수 한우명장(2007년 선정) 농장을 찾아 암소 혈통 관리 및 개량을 통한 우수형질 송아지 생산 기술과 고급 한우로 육성시키는 기술에 대한 기술을 전수받았다.
이어 문경 윤창영 오미자명장(2013년 선정)의 농장을 찾아 다른 농가보다 월등한 생산량을 보이고 있는 특수 재배기법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윤 명장은 문경오미자 아카데미 기술 강사로 활동하면서 기술전파에 앞장서 왔고 초보농부들을 위한 농업명장 현장실습 교육에는 4번째로 참여하고 있다.
초보농부들은 둘째 날인 2일에는 상주 우인오 산양삼명장(2018년 선정)을 찾아 부엽토를 이용한 대량 재배기술 등을 배웠다. 우 명장은 농업명장 사업비 전액을 농장 내 교육용 데크 설치에 투자하는 등 경북농업 후계자 키우기에 열성을 다해오고 있다. 이번 교육에도 산양삼 재배지를 공개하는 등 기술전수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예천 윤여한 양봉명장(2018년 선정)을 찾아 비법을 전수받았다. 윤 명장은 국내 최초의 정부 장려품종 장원벌 개발과 보급에 적극적이다. 일반벌에 비해 꿀 생산량이 35% 이상 높은 장원벌의 모체인 여왕벌을 2015년부터 도내 23개 시·군 285농가에 전파하고 있다.
윤 명장은 “열정과 도전정신으로 임한다면 언제나 멘토가 돼 줄 것”이라고 교육생들을 격려했다.
‘경북 농업명장’은 농업분야 최고 권위자에게만 주어지는 상으로 지난 2002년부터 매년 2명씩 선발돼 34명의 농업명장이 배출됐다.
경북도는 ‘농업명장 순회교육’ 외에도 농산업창업지원센터 운영, 2030 리더교육, 경영실습 임대농장 운영, 창업자금 및 정착금 지원 등 초보농부들의 지역 정착을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김종수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청년들을 지역으로 불러 모으고 농업에 변화와 혁신의 새바람을 일으켜 사라지는 농촌을 살아나는 농촌으로 만드는 정책을 더욱 확대할 것”이라며 “청년농업인 교육을 위해 흔쾌히 농장을 개방하신 명장들께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