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3사가 경찰청과 정보통신기술(ICT)을 바탕으로 실물 운전면허증 대비 편의성과 보안성을 강화한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를 추진한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 3사는 공동 본인인증 브랜드인 ‘패스(PASS)’ 기반 모바일 운전면허증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경찰청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앞서 통신3사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획득한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 관련 임시허가를 바탕으로 추진됐다.
먼저 이통 3사는 ‘패스’를 경찰청과 도로교통공단 ‘운전면허정보 검증 시스템’과 연동하는 논의를 시작으로 내년 1분기까지 모바일 운전면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협업할 계획이다. QR코드나 바코드 형태로 표출되는 모바일 운전면허 서비스는 경찰청·도로교통공단의 검증 시스템‘과 연동돼 실시간으로 소유자의 운전자격 및 신원확인이 가능해진다.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가 사용자의 운전자격과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편의성 뿐만 아니라 교통안전 확립을 통한 사회적 가치 실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는 휴대폰 이용자가 ‘패스’ 앱에서 이용약관에 동의, 실물 운전면허증을 등록하면 이용이 가능하다.
이통 3사는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블록체인 등 다양한 보안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고객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또 이통 3사는 패스 이용자가 대면·비대면 환경에서 간편하게 운전자격이나 신원을 증명하는 등 기존 실물 운전면허증과 동일한 법적 지위를 가질 수 있는 서비스도 구상 중이다. 먼저 공유차량 서비스 사업자인 ‘쏘카(SOCAR)’와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 도입·적용을 타진할 계획이다.
쏘카 서비스 이용자가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로 본인여부 확인과 운전자격을 증명하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명의도용이나 무면허 운전으로 인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사회적 가치 실현에도 기여할 것이란 전망이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