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조훈현 자유한국당 의원이 문화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자연재해로 인한 문화재 피해는 166건으로 피해복구 지원액은 94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부터 올해 8월까지 가장 눈에 띄는 자연재해는 지진으로 2016년 경주지진, 2017년 포항지진 당시 63건의 문화재 피해가 발생하여 약 30억 원에 달하는 국고가 투입됐다.
문화재 피해유형별 현황을 살펴보면 △지진(63건, 38%) △집중호우(58건, 34.9%) △태풍 및 강풍(22건, 13.3%) △해빙 등(16건, 9.6%) △화재(산불)(7건, 4.2%) 순으로 피해가 발생하였고, 지원액은 △집중호우(37억5천6백만원, 39.6%) △지진(30억8백만원, 31.8%) △해빙 등(15억8천5백만원, 16.7%) △태풍 및 강풍(8억8천6백, 9.3%) △화재(2억4천8백, 2.6%)순이다.
또한 지역별 재난문화재 현황을 보면 △경북 △경남에 문화재 피해수가 86건에 달해 전체 문화재 피해건수 대비 51.9%이었다. 이외 △제주 9.1%, △전남 9.0% 순으로 피해가 확인되어 남부 해안지역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요구됐다.
조 의원은 “현행 문화재보호기금법에 따르면 재해 발생시 훼손·유실 등에 따른 긴급보수나 복원만 사용이 가능하고, 정작 문화재에 필요한 재해예방사업에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며 “문화재 특성상 자연재해로 인해 피해가 발생하면 완전한 복구가 힘든 만큼 예방에 대한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