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제2인천의료원을 추진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인천 중구 영종국제도시에 추진하기로 한 종합병원 논란이 새국면을 맞이하게 됐다.
2일 인천시와 중구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30일 ‘인천 2030 미래이음’ 건강 분야 발표회를 통해 민선7기 시정운영 계획과 연계한 중장기 종합계획과 관련, 앞으로 10년 내에 다수의 시민들이 혜택을 받도록 제2인천의료원과 도서지역거점 안심보건지소를 건립하겠다고 발표했다.
앞서 지난달 26일 인천 중구 주최로 개최된 ‘영종국제도시 종합병원 유치 방안 포럼’에서 조승연 인천시의료원장은 “지금 시작하면 영종국제도시의 인구가 인구 25만명이 되는 2025년쯤 병원 개원이 가능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대전의료원, 부산의료원, 진주의료원 등 전국 곳곳에 공공의료 시스템 구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면서 “수십억원의 적자를 해결하기위해 울진원전이나 서천화력 등이 운영비를 지원하는 것을 참고해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운영비 일부를 해결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조 원장은 또 “300병상 이상 돼야 규모의 경제가 가능하다”며 “공공병원이 영종국제도시에 들어서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강조했다.
박근해 전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 대행(전 영종국제도시 종합병원 시민유치단 상임대표)는 “인천공항이 처음 생길 때 인천공항과 오산공항의 관제를 종합해 줄 것을 요구했더니 미군에서 응급실을 갖춰달라고 요구해 무산된 적이 있다”며 “이제야 그 뜻을 알게 된만큼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중심이 돼 민·관이 재원을 마련해 응급의료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부 전문가들은 “태풍으로 인해 영종대교나 인천대교가 붕괴될 경우 ‘제2의 세월호’를 또 경험해야 한다”며 “영종국제도시의 지역병원에 전시 및 긴급재난 상황과 일반 환자를 구분해 서비스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다른 전문가는 “미국의 경우 학교와 병원이 완성돼야 도시가 완성된 것으로 본다”며 “병원이 없는 국제도시는 말장난에 불과하다”고 질타했다
이에 따라 인천시,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중구, 인천국제공항공사 등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구성해 공항이용료와 공항 입국장 면세점 수익을 지역사회에 필요한 응급실을 갖춘 종합병원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임배만 ㈜에이치엠엔컴퍼니 대표는 ‘영종국제도시 응급체계 구축 및 종합병원 유치방안’ 용역결과 발표를 통해 “영종국도시에서 현재 1일 25~30명의 응급환자가 발생하고 있다”며 “응급실이 가시화되기 전이라도 심혈관질환 환자들의 급증에 따른 지역주민 핫라인 구축 등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홍인성 중구청장은 “영종국제도시는 거주인구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허브공항인 인천국제공항이 위치해 있어 다른 어느 지역보다도 응급 의료수요가 많이 발생하는 곳으로 법리적 규정이 아닌 지역 실정을 충분히 고려하여 응급의료 취약지로 선정하는 것이 타당하다”며 “이번 포럼이 영종국제도시 지역의 응급의료 취약지 지정과 종합병원을 유치하는 촉매제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