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대책에도 재발한 ESS 화재, 한달 새 3건…하반기 사업전망도 ‘적신호’

입력 2019-10-01 17:02
2017년 8월부터 올 5월까지 발생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위원회 제공

미래 유망 사업인 에너지저장장치(ESS)에서 원인이 불분명한 화재가 또다시 발생하고 있다. 지난 2년간 20여건이 넘는 화재가 발생해 상반기 정부가 대책을 내놨지만 재발한 것이다. 상반기 고전을 면치 못한 업계는 하반기 신규 사업 수주에 물꼬가 트이는 등 활력을 찾던 찰나에 다시 한번 위기를 맞게 됐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민관합동조사 발표가 나고 하반기에는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는데 최근 한달간 잇따라 화재가 또 발생하면서 하반기 전망도 어두워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지난 한달 간 발생한 3건의 ESS 화재는 아직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8월 30일 충남 예산군의 태양광발전소 ESS에서 화재가 발생했고, 지난 24일에는 강원 평창군의 풍력발전소 ESS. 5일 뒤인 29일에는 경북 군위군 우보면의 태양광발전설비업체 ESS 저장소에서 불이 났다.

3건 중 2건은 LG화학 배터리, 1건은 삼성 SDI 제품에서 사고가 났다. 각 업체에서는 제품 자체의 결함 여부뿐만 아니라 시스템통합(SI), 배터리제어시스템(BMS), 전력변환장치(PCS) 등 관리 장치, 배터리 보관상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ESS 업체들은 지난 상반기 동안 사업이 중단되다시피 했다. 정부는 2017년 8월부터 1년 9개월간 ESS 설비에서 23건의 발생하자 지난해 말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ESS의 가동중단을 요청했다. 1월에는 민간사업장에도 별도의 전용 건물이 설치돼 있지 않으면 가동을 중단해달라고 요청했고, 전용 건물이 있어도 최대 충전율이 70%를 넘지 않도록 운전해달라고 권고했다.

상반기는 어려웠지만 하반기에는 시장 상황이 회복될 것이란 기대감이 나오고 있었다. 민관합동조사 결과가 나온 6월 이후 신규 사업 수주를 위한 문의도 늘고 있었으나 악재가 또 발생한 것이다. 일각에서는 “애초에 정부 조사에서 사고 원인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고 재발을 막지 못한 것”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업계에서는 “정부가 새로 조사위를 꾸려 재조사를 실시하거나 문제 되는 제품의 리콜을 실시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이에 대해 국가기술표준원 관계자는 “현재로선 사고원인의 규명이 우선이며 연이은 사고는 지난 6월 발표한 안전강화대책이 1700여개 전체 사업장에 순차적으로 적용되는 과정에서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며 “제품의 문제가 아니라 설비에 쓰이는 부품의 문제이므로 배터리 리콜 가능성은 없다”고 전했다.

ESS 화재는 이달 열리는 국정감사에서도 중요한 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임영호 삼성SDI 부사장과 김준호 LG화학의 부사장이 증인으로 국감장에서 ESS 관련 질의를 받을 예정이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