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행정에 광주시민 불만 고조…중장기적 대책 절실해

입력 2019-10-01 14:20

광주시의 ‘쓰레기 관련 행정’이 매끄럽지 않다는 여론이 커지고 있다. 당장 음식쓰레기 처리가 원활하지 않은 데다 잔존 쓰레기 불법매립과 고형 폐기물 연료화사업(SRF), 태양광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 등을 둘러싼 민원과 잡음이 끊이지 않아서다.
광주시는 “대형 음식점 배출 쓰레기를 주로 처리해온 남구 S환경 등 민간시설 2곳의 배정물량을 10월부터 대폭 늘린다”고 1일 밝혔다.
광주지역 하루 평균 음식쓰레기 배출량은 총 572t 정도다. 시는 그동안 공공시설 2곳에서 462t, 민간시설 3곳에서 110t을 처리해왔다. 하지만 민간시설 중 전남 담양 C바이오가 지난달 26일 고형 음식물 쓰레기를 원료로 한 비료공장으로 업종을 바꾸면서 때아닌 문제가 불거졌다.
이로 인해 광주지역에서는 3~4일 동안 음식쓰레기를 제대로 수거하지 못해 악취 등 각종 민원이 잇따랐다. 시는 C바이오가 처리하던 35~40t 물량을 S환경 등 나머지 민간시설 2곳에서 대신 맡도록 했지만 땜질식 ‘긴급 처방’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공공시설 2곳도 10월과 11월 정기보수에 들어가기로 해 음식쓰레기 대란이 우려되는 현실이다.
음식쓰레기 수집·운반·처리 체계가 불안정한데도 시가 추진 중인 장기적 관점의 대책은 오리무중이다.
최근 일곡지구 제3근린공원 시립청소년문화의집 신축공사장에서 불법매립 현장이 고스란히 드러난 점도 광주시를 곤혹스럽게 만들고 있다. 기초공사 터파기 과정에서 높이 7m 무게 9만t 정도의 거대한 쓰레기 산이 발견된 것이다.
‘불법매립 쓰레기 제거를 위한 대책모임’을 결성한 주민들은 시가 책임지고 해결하는 것은 물론 철저한 진상조사에 나설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 30일 시청 앞에서 집회를 갖고 “20여년전 택지지구 조성과정에서 시의 묵인과 방조 아래 LH가 일곡 제2,제3 근린공원 등 8곳에 최소 15만t, 최대 63만t의 쓰레기를 몰래 묻었다고 한다”며 “3만 명에 달하는 일곡 주민들의 건강과 환경보호를 위해 불법매립한 쓰레기를 당장 다른 곳으로 옮겨 달라”고 주장했다.
해당 북구의회 조사결과 시와 LH는 당시 일곡·삼각동 생활폐기물 매립장의 쓰레기 발생량에 대한 계산착오로 인해 전량 반출이 어렵게 되자 남은 쓰레기를 그대로 택지에 재매립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자체와 공기업이 폐기물관리법을 위반하고 침출수 토양오염, 악취, 유해가스 등을 방치한 셈이다. 시가 947억 원을 들여 건설한 SRF 연료화 생산시설과 광역쓰레기매립장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사업도 수년째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가연성 폐기물을 태워 만드는 SRF 시설은 나주 열병합발전소 가중 중단으로 1년 넘게 애물단지로 전락해 운영손실만 현재 200억 원을 넘고 있다. 태양광을 활용해 매립장 유휴부지 28만㎡에 건립하려던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도 사업자 선정을 둘러싼 법적 분쟁에 휩싸여 4년 넘게 착공조차 못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예산 등을 감안해 현실적으로 집행 가능한 합리적 대책을 세우고 있다”며 “중장기적 정책도 손질해 시민불편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