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다양한 여론을 수렴하는 절차를 거치지 않아 주민자치에 위배되기 때문에 수용할 수 없습니다.”
어렵게 합의안을 이끌어낸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지 선정방식이 군위지역의 반발로 다시 암초를 만났다.
경북 군위군의회는 대구시장과 경북지사, 군위·의성군수가 최근 합의한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지 선정 방식’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군위군의회 통합공항이전특별위원회는 지난 26일 입장문을 내고 “지난 21일 대구시장과 경북지사 등 4개 지자체장이 모여 논의한 방안을 마치 합의·결정된 사항인 것처럼 경북도가 국방부에 공문으로 제출한 데 대해 우려와 실망감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4개 지자체장이 합의한 내용은 군위군민은 군위에, 의성군민은 의성에 각각 공항이 들어서는 데 찬성하는지를 묻는 방식으로 주민투표를 해 군위 찬성률이 높으면 군위 우보면, 의성 찬성률이 높으면 의성군 비안면과 군위군 소보면을 공항 최종 이전지로 정한다는 것이다.
4개 지자체장들은 합의 내용을 최근 국방부에 전달했다.
하지만 군위군의회 특별위는 “이 방안은 사실상 공동후보지인 군위군 소보면과 의성군 비안면을 의성군 단독 후보지인 양 군위군민은 배제한 채 의성군민이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4개 지자체장이 단 한 번 회동으로 모든 것을 결정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발상 자체가 전시대적 사고”라며 “주민들의 대표인 군 의회와 사전 조율하고 지역의 다양한 여론을 수렴하는 절차를 거치지 않아 주민자치에 위배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국방부에서 이 방안으로 주민투표를 하기로 결정한다면 군민과 함께 주민투표를 분명하게 거부하겠다”며 “대구공항 통합이전 결정에 군민 의사가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법적 투쟁은 물론 물리적 저항을 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그동안 주무부처인 국방부가 이전 업무에 중심을 잡지 못하고 경북도의 성급한 성과주의가 낳은 결과”라며 “정상적인 상태로 이전사업을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이에 앞서 지난 24일 민간단체인 ‘군위군통합신공항추진위원회’도 성명을 내고 “합의안대로 투표한다면 비안·소보 후보지 이전 주변지역 군위군민의 의사가 전혀 반영되지 않아 주민들이 수용하지 않는다”며 “소보·비안 후보지에 대한 군위 군민의사를 물어 달라”고 요구했다.
대구시와 경북도 관계자는 “지역 숙원사업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로 힘을 모아야 하는데 내부에서 분열하는 모습은 곤란하다”며 “군위를 설득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