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총장님, 왜 그러셨습니까?”
인천지검 부천지청 소속 장모(40·사법연수원 36기) 검사는 30일 오전 검찰 내부 통신망 이프로스 검사게시판에 “총장님, 왜 그러셨습니까!”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윤석열 검찰총장이 눈치 없이 ‘살아 있는 권력’인 조국 법무부 장관을 수사한 것 때문에 검찰이 정치검찰로 비난받고, 온 나라가 어지러운 게 아니냐는 글이다. 검찰을 공격하는 정치권과 일부 여론을 비튼 것으로 풀이된다. 검찰 구성원들은 속이 시원하다면서도 재미있게 읽지만은 못했다는 반응이다.
장 검사는 윤 총장이 정권의 의중을 모른 채 엉뚱한 수사를 했다고 비틀었다. 그는 윤 총장을 향해 “왜 그러셨습니까”라고 물으며 “임명권자로부터 엄청난 신임을 받아 총장까지 되셨는데, 그 의중을 잘 헤아려 눈치껏 수사를 하셨으면 이리 역적 취급을 받지 않으셨을 텐데”라고 썼다. 장 검사는 “지난 정권 때도 그리 정권 눈치 살피지 않으시고 국가정보원 댓글 수사하시다 여러 고초를 겪으셨으면서, 또다시 그 어려운 길을 가시려는 이유가 무엇이냐”고도 했다.
장 검사는 윤 총장을 향해 “장관 수사를 열심히 하지 않으셨다면 총장이 담당하신 특수수사, 직접수사는 챙기면서 검찰 개혁과 크게 관련 없는 형사부 수사지휘권만 내놓아 엉뚱한 부위의 검찰 힘을 빼는 모습을 제대로 보여줬을 것”이라고도 했다. 조 장관은 취임 이전과 달리 검찰의 특수수사 축소, 형사부 강화를 주장하고 나섰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장 검사는 “총장께서 엄정히 수사를 하지 않으셨으면 특수수사는 살리고, 검찰개혁에 저항한다는 오명을 쓰지 않으셨을 것”이라고도 썼다.
장 검사는 “총장님, 정말 그러셨습니까, 지지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야당과 내통하셨습니까”라고도 물었다. 그는 “지지율도 높고 총장님을 신임하는 여당 쪽과 내통하는 게 더 편하지 않으십니까”라고 했다. 여권은 조 장관이 최근 자택 압수수색을 당할 때 현장 검사에게 전화로 부적절한 당부들을 건넨 것을 두고 “검찰과 야당이 내통했다”고 비난해 왔다.
장 검사는 “조 장관이 무슨 그리 큰 잘못을 했느냐”는 식으로 비틀어 말하기도 했다. 조 장관 일가에 투입된 수사력이 과도하다는 일각의 지적을 감안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가진 인맥과 교수 직위를 이용해 표창장 좀 위조하고 허위 스펙 좀 끼워 넣은 것이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그 어여쁘고 귀한 자녀 대학 좀 잘 보내려고 한 것인데 뭐가 그리 큰 잘못이냐”고 했다. 장 검사는 “‘컨닝하거나 부정한 방법으로 공부 잘 하는 것보다 공부 못 하는 게 낫다’고 배우고 그게 맞다고 생각해 왔었는데, 이제 보니 제 생각이 틀렸던 것 같다”고 했다.
장 검사는 “가진 돈이 많고 아는 정보가 많아 사모펀드 같은 곳에 투자해서 쉽게 돈 불리면 어떻습니까”라고도 적었다. 그는 “검사는 고위직 공무원으로서 혈세로 적지 않은 월급을 받는데 요행을 바래서는 안된다며 복권 한 장 잘 사지 않는 분도 계시던데 그것도 틀린 것 같다”며 “당첨될지도 모르는 복권을 살 것이 아니라 좀더 가능성이 있는 사모펀드 공부를 제대로 해보는 게 맞을 것 같다”고 했다. 장 검사는 “위 정도의 것들이 정의와 공정한 사회를 정권의 기조로 삼고 법무행정 비전으로 삼고 있는 법무부 장관께서 받고 계신 현재까지의 구체적인 의혹들에 불과한데, 뭐 저 정도 의혹이 사실이라도 어떻습니까”라고 비틀었다.
조 장관을 향해서는 “원인과 해결책이 전혀 맞지 않는 수사권 조정안에 찬성하시다가 당신과 직접 관련되는 수사를 겪으시고 나서야 특수수사의 축소 내지 폐지를 주장하셨다”고 했다. 장 검사는 조 장관을 두고 “틀림 없이 총장님께서 모르시는 검찰개혁을 위한 특별한 초능력을 가지신 분일 수도 있지 않겠습니까”라고 했다. “임명권자께서 직접 나서시어 검찰 수사에 대해 언급하시면서 여권이 총 동원되다시피 하여 검찰 수사를 비난하고, 장관이라고 밝히시며 수사검사에게 피의자의 남편으로서 전화하시는 등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의 실현 불가능성을 제대로 보여주시는 분이심에도 검찰개혁의 가장 적임자라 한다”는 이유였다.
장 검사는 윤 총장을 향해 “그래도 총장님 덕분에 잘 된 것도 있다”고 했다. 그는 “이제 검찰에서 특수수사나 직접수사 분야를 폐지 축소해 대통령 직속으로 공수처나 특수수사처를 만들게 되면, 이번 총장님의 수사를 보고 느낀 바가 많은 공수처나 특수수사처는 정권의 의중을 잘 헤아려 뛰어난 정치적 감각으로 수사를 잘 할 것”이라고 했다.
장 검사는 글의 말미에 “(총장) 덕분에 앞으로 후배 검사들은 살아있는 정권과 관련된 수사는 절대 엄정하게 하면 안 된다는 것을 배웠다”고도 했다. “수장과 관련된 수사는 신속히 하여서도 아니 되고 신속한 수사를 위해 어쩔 수 없이 많은 인원을 필요로 하더라도 적당한 인원의 수사인력으로 제한하여 압수수색 장소도 적당히 구색 맞추어 몇 군데만 해야 하는 것을 절실히 배웠다”고 썼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