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이달 말 내달 초 방중하나…중국 지지로 협상력 잃지 않겠단 것

입력 2019-09-29 16:58 수정 2019-09-29 17:44
김정은(오른쪽) 북한 국무위원장이 20일 평양 금수산 영빈관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하기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중국 국가 최고지도자가 방북한 것은 2005년 10월 후진타오 주석 이후 14년 만이다. 양 정상은 한반도 비핵화 문제를 집중 논의했다. CCTV 캡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이달 말이나 내달 초 중국을 방문할 것으로 관측되면서 방중 의도에 관심이 쏠린다. 김 위원장이 방중을 통해 향후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 전략을 공유하고 이에 대한 중국의 지지와 경제적 지원을 요청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내달 1일과 6일 ‘신중국 70주년’과 ‘북·중 수교 70주년’이란 대형 이벤트가 줄줄이 예정돼 김 위원장의 방중은 유력해 보인다. 특히 북한이 중시하는 정주년(5년, 10년 단위로 꺾어지는 해)이자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 재개가 임박하면서 북·중 정상 간 만남이 이뤄질 가능성은 높다. 국가정보원은 지난 24일 김 위원장이 중국과의 친선을 강화하고 북·미 비핵화 협상 관련 정세 인식 등을 공유하기 위해 중국을 찾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이번 방중이 다음달 6일을 전후로 진행되며 북·중 정상 간 만남은 베이징 또는 동북 3성 지역에서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동안 북한은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에 중국을 끌어들이는 전략을 구사했다. 중국이란 ‘뒷배’가 있단 점을 과시, 미국 의도대로 끌려다니지 않겠단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다. 한반도 문제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중국의 이해관계와도 맞아떨어지면서 북·중은 공동전선을 펼쳐왔다. 실제 김 위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2차례 정상회담에 앞서 총 3차례 중국을 찾아 시진핑 국가주석을 만났다. 지난해 6월 싱가포르에서의 1차 북·미 정상회담 후엔 곧장 중국을 방문, 3차 북·중 정상회담을 가졌다.

김 위원장은 5번째 방중을 통해 향후 비핵화 협상 전략을 공유하고 중국의 지지와 경제적 지원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비핵화 조치의 범위와 이에 대한 상응조치를 두고 북·미가 좀처럼 이견을 좁히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중국의 지지와 경제적 지원을 얻어내는 게 더욱 중요해졌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김 위원장이) 북·미 비핵화 협상의 본격적인 재개를 앞두고 전통적 우방인 중국과의 관계를 다지는 데 힘을 쓸 것으로 보인다”며 “대북 제재 완화 또는 해제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중국의 역할을 촉구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유엔총회 일반토의 연설을 통해 대북제재 완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은 시 주석에게 별도의 경제적 지원도 요청할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이면 김 위원장이 강조해온 국가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종료되기 때문이다. 경제적 성과를 통해 내부적으로 안정·결속을 꾀할 필요가 있는 김 위원장으로선 중국의 지원이 절실하다. 조 위원은 “대북제재의 영향을 받지 않는 선에서의 경제적 지원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북한에 대한 지지 입장을 밝히면서도 자신들이 주장해온 비핵화 프로세스와 평화협정 체결 논의 동시 진행 등을 다시 한번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중국은 일관되게 한반도 비핵화 문제 해법으로 비핵화 프로세스와 평화협정 체결 논의 동시 진행을 주장해왔다. 아울러 비핵화 문제 해결과 관련, 중국의 역할론이 국제사회로부터 꾸준히 제기되는 만큼 대북 유화정책과 함께 일정한 압박을 가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