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만 vs 5만… ‘검찰개혁’ 촛불시위 참가자 논란

입력 2019-09-29 11:40 수정 2019-09-29 12:41
‘조국 수호’와 ‘검찰 개혁’을 지지하는 서울 서초동 촛불문화제의 참가 인원 규모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문화제 주최 측 참가자 규모를 200만명 이상이라고 했지만 보수 진영에서는 5만 명 남짓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28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초동 중앙지검 앞에서 열린 검찰 개혁 촛불 문화제에서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

사법적폐청산 범국민 시민연대(이하 시민연대)는 28일 오후 6시부터 서울중앙지검 정문 앞에서 개최한 제7차 검찰개혁 촛불문화제에 총 200만명 이상이 참가했다고 29일 밝혔다.

시민연대는 “당초 10만명 정도가 참가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예상보다 10배 이상 많은 인원이 집회 초반부터 몰려 놀랐다”면서 “사람들이 너무 몰려와 대법원 정문까지 진행하기로 한 계획도 변경했다”고 밝혔다.

시민연대에 따르면 집회 초반부터 50만명 정도가 몰렸다. 이후 시간이 더해지면서 가족 단위의 시민들이 더욱 몰렸고 집회에 참가하려고 다녀간 시민들이 총 200만명 이상이라는 것이다.

28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초동 중앙지검 앞에서 열린 검찰 개혁 촛불 문화제에서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

집회 시작 전부터 서초역 출구에는 사람들로 붐볐다. 광주와 부산, 대구, 대전 등에서 관광버스를 타고 온 문화제 참가자들이 집회에 대거 합류했다. 경찰은 참가자가 몰리자 반포대로 8차선 양방향 전 차로를 차단했다.

시민들의 참여 열기는 밤이 되면서 더해졌다. 가족 단위로 문화제 현장을 찾는 시민들이 많았다. 참가자들은 ‘검찰개혁’과 ‘조국 수호’ ‘공수처 설치’ 등의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거나 윤석열 검찰총장을 규탄했다.

촛불문화제 현장을 촬영한 방송사 드론샷. MBC 방송화면 캡처

촛불문화제 현장을 드론으로 촬영한 방송사의 영상도 시민연대의 200만명 참가 주장을 뒷받침했다. 영상을 보면 서초역 근방 일대가 촛불로 가득했다. 현장을 지키던 경찰 관계자는 “정확한 수치는 모르겠으나 10만명은 확실히 넘어 보인다”고 말했다. 당초 주최 측이 예상한 10만명보다 많은 시민이 모였다는 것이다. 경찰은 이날 60여개 중대를 배치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다.

보수 세력은 그러나 시민연대의 200만명 참가 주장은 터무니없는 소리라고 반박하고 있다. 애초 서초역 일대를 가득 메웠다고 해도 수백만명이 모일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이 되지 않으며 또 이 중 대다수는 지난 21일부터 서초동 일대에서 개최된 서리풀 페스티벌의 폐막 행사를 보려고 온 일반 시민들이라는 주장이다.

민경욱 자유한국당 의원 페이스북 캡처

민경욱 자유한국당 의원은 29일 페이스북에서 “서리풀 행사에 오신 분들이 조국 옹위 인파로 매도되고 있다”면서 “(조국 지지자들의) 위선과 허위, 뻥튀기 병이 도졌다”고 비판했다. 민 의원은 5만5000명이 몰렸다는 빅뱅 일본 콘서트 사진을 비교해 올리고 촛불문화제의 규모가 크게 부풀려졌다고 주장했다.

민경욱 자유한국당 의원 페이스북 캡처

한 네티즌은 1m에 한 명씩 40m 폭의 거리를 차지한다고 가정했을 때 50만명이라면 무려 12.5㎞의 도로가 사람으로 가득 차야 한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12.5㎞라면 서초역에서 직선거리로 신목동역까지이므로 수백만명이 참가했다는 것은 지나친 추산이라는 것이다. 이 네티즌은 “물론 촛불문화제는 성공적인 집회였으며 이를 평가절하하려는 생각은 절대 없다”면서도 “하지만 광주의 인구가 150만명인데 이들 인구 전체가 서초역 주변에 다 몰아서 있었다면 이상한 사람 취급받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터넷 커뮤니티 캡처

또 문화제 참가자들이 지하철로 현장을 방문한다고 가정했을 때 200만명이 현장에 가는 데에만 대략 12시간이 걸리는 만큼 200만명 참가는 허수라는 주장도 나왔다.

경찰은 예전에 단위 면적당 차지하는 인원을 집계하고 이 인원을 전체 면적에 대비해 참가인원을 추산하는 이른바 ‘페르미 추정법’을 이용해 집회 참가 규모를 추정해 왔다. 특정 시점에 모인 최대 인원을 계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3.3㎡(1평)당 앉으면 5~6명, 서면 9~10명 정도로 점유 인원을 정한 뒤 전체 집회 공간의 면적을 곱해 계산하는 식이다.

경찰청은 그러나 ‘박근혜 퇴진 촛불집회’가 한창이던 2017년 당시 고의로 집회 인원을 축소해 촛불집회를 방해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비판이 불거지자 2017년 1월 14일부터 집회시위 추산 인원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경찰은 이번 서초동 검찰 개혁 촛불문화제의 참가 규모도 발표하지 않았다.

김상기 기자 kitt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