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청사건립추진공론화위원회(이하 공론화위원회)는 28일 오후 대구시 교육청 대강당 행복관에서 시민설명회를 열고 대구시 신청사 건립 예정지 선정에 관한 주요 내용을 시민들에게 공개했다.
지난 4월 출범한 공론화위원회는 그동안 8차례의 정례 회의와 4차례의 소위원회 회의 끝에 올해 12월로 계획된 건립 예정지 선정을 위한 기준들을 마련했고 이날 시민설명회를 열었다.
공론화위원회는 먼저 시민의견 기초조사와 시민원탁회의 등에서 나타난 다양한 의견을 담아 ‘함께하는 열린 시민공간, 우리! 대구신청사’를 목표로 설정하고 포용성, 상징성, 합리성을 신청사가 가져야 할 가치로 제시했다.
공공업무기능을 담당할 청사의 기준면적은 5만㎡, 시민이 원하는 공간이 될 기준 청사 외 면적 2만㎡ 등 신청사 건립 규모를 연면적 7만㎡로 정하고 이 정도의 건축이 가능한 부지를 적정한 후보지 규모로 제시했다.
신청사 건립 기본구상을 바탕으로 후보지 신청기준과 예정지 평가기준도 마련됐다. 먼저 후보지 신청기준으로는 최소 규모 1만㎡ 이상, 경사도는 부지 평균 17도 이하(주거·상업·공업지역일 경우는 25도 이하) 등의 기준도 밝혔다.
예정지 선정을 위한 평가기준은 상징성, 균형발전, 접근성, 토지 적합성, 경제성을 기본항목으로 하고 그 아래 총 7개의 세부항목을 설정해 체계를 잡았으며 이 7개의 세부항목을 평가항목으로 정해 평가를 진행하는 방법이 제시됐다.
예정지 선정 평가를 할 250명 내외로 구성되는 시민참여단 구성 방안이 최고 쟁점사항으로 부각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방안도 제시했다. 평가를 수행할 시민참여단은 시민 232명, 시민단체 10명, 전문가 10명 등 252명으로 구성되며 이 중 시민부문 참여단은 무작위 표집 후 면접조사를 통해 각 구·군별 29명씩 균등한 인원을 선정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공론화위원회는 다음달 중 개최되는 제9차 정례 회의에서 이번에 도출된 시민 의견을 검토해 신청사 건립 기본구상과 각 기준들을 확정 지은 뒤 기준 맞춰 10~11월 구·군으로부터 후보지 신청을 받고 12월 예정지 선정 평가를 수행할 시민참여단을 구성한다는 계획이다.
시민참여단은 후보지별 현장답사와 숙의 과정을 거쳐 예정지 선정 평가를 수행하며 최고득점 지역이 신청사 건립 예정지로 확정된다. 공론 과정을 관리하는 공론화위원은 평가에 참여하지 않는다.
김태일 신청사건립추진공론화위원장은 “신청사 건립 문제가 수면위로 떠오른 지 15년째인데 그사이 두 번의 좌초가 있었다”며 “대구의 미래를 위해 더 이상 신청사 건립을 미룰 수 없다”고 밝혔다.
한편 현대 신청사 유치를 위해 대구 8개 구·군 중 중구와 북구, 달서구, 달성군이 홍보활동 등을 벌이고 있다. 이중 중구는 신청사 현 위치 고수 입장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