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신중국 건국 70주년을 앞두고 미국과 겨루는 G2로서 국력과 군사력을 과시하고 있다. 세계 최대 공항인 베이징 다싱국제공항이 건국절 행사를 목전에 두고 정식 개항했고, 경항공모함으로 사용 가능한 최신예 강습상륙함도 처음 진수됐다. 중국 최대 석유 시추 플랫폼이 남중국해에서 작업하는 모습도 공개됐다. 사상 최대 규모의 국경절 열병식에서는 미국을 겨냥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둥펑-41’이 공개될 수도 있다. 이는 대내외 악재로 어려움에 처한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자국민들에게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권력을 공고히 하려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26일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5일 세계 최대 규모로 완공된 베이징의 다싱국제공항에서 정식 개항 선포식을 갖고 위대한 중화민족의 부흥이라는 중국몽(中國夢)을 재차 역설했다.
시 주석은 “중국은 불가능한 것들을 하나하나 이뤄냈고, 믿기 어려운 기적을 만들어냈다”며 “중국 공산당과 중국 인민은 웅대한 뜻을 품고 계속 분투할 자신감이 있으며,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란 중국몽을 향해 힘차게 나아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은 이날 다싱공항까지 공항열차로 이동한뒤 정식 개항을 선포했다.
다싱공항은 4500억위안(약 75조원)짜리 초대형 프로젝트로 2014년 12월 착공한 뒤 5년만에 완공하고 정식 운영에 들어갔다. 봉황이 날개를 편 형상의 다싱공항 터미널은 남북 1753m, 동서 1591m에 건축 면적은 140만㎡로 단일 공항 터미널로는 세계에서 가장 크다. 활주로는 현재 4개이며 향후 7개로 늘어날 예정이다.
다싱공항 이용객은 2021년 연간 4500만명, 2025년 7200만명, 2040년 1억명의 승객을 수송하며 세계에서 붐비는 공항이 될 전망이다. 다싱공항은 베이징 중심인 천안문에서 직선거리로 46㎞ 떨어져 있어 기존 서우두공항(25㎞)보다 2배 가량 멀지만 도심까지 최고시속 160㎞의 신공항선으로 18분만에 연결된다.
중국 3대 항공사 가운데 동방항공과 남방항공은 대부분의 항공노선 거점을 다싱공항으로 옮겼으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기존 서우두공항을 당분간 이용하게 된다.
중국군은 이날 미군 와스프급 강습상륙함에 맞먹는 최신예 4만t급 075형 강습상륙함 1번함을 상하이 후둥 조선소에서 처음 진수시켰다고 신화망 등이 보도했다. 075형은 함내 무기장비 등을 장착한 뒤 시험항해를 거쳐 내년 정식 취역할 예정이다.
중국군은 2025년까지 수직 이착륙기, 헬기를 탑재한 075형 강습상륙함 4척을 배치한다는 계획이다. 075형은 길이 250m, 폭 30m에 시속 30노트로 항행할 수 있다. 헬기 등 함재기 30~42기를 실을 수 있고 승소원은 1208명이나 된다. 075형은 전 세계 어떤 곳에서도 합동 상륙작전이 가능하다. 중국은 또 배수량 3만t급 071형 선거상륙함인 쿤룬산함과 창바이산함과 우즈산함도 보유하고 있다.
중국이 사거리가 1만2000∼1만5000㎞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둥펑-41을 열병식에서 공개할지도 주목된다. 둥펑-41의 타격 범위는 미국 본토까지 포함하고 있다. 차이즈쥔 열병식영도소조 부주임은 최근 기자회견에서 둥펑-41 등장 여부에 대해 “아직 열병식까지는 일주일의 시간이 남아 있다. 모두를 실망하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경절 열병식은 육·해·공군과 로켓군 등 장병 1만5000여명이 참여해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진다. 차이 부주임은 “열병식에는 각종 군용기 160여대와 군사 장비 580대를 선보이며 1300여명의 연합군악대도 참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열병식에는 최초로 여성 장성 2명도 사열에 나선다.
중국은 남중국해에 석유 시추 플랫폼을 설치해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간 사실도 공개했다.
중국 공산당 중앙정법위원회 위챗 계정 ‘창안젠(長安劍)’은 남중국해에 설치된 중국 최대의 석유 시추 플랫폼인 ‘해양석유 982’가 지난 21일 현재 수심 3000m에서 원유를 찾기 위한 시추 작업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시추 작업 위치는 공개되지 않았다. 해양석유 982는 수심 5000m까지 시추할 수 있다.
남중국해는 중국이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대만 등과 남중국에서 영유권 갈등을 빚고 있는 분쟁 수역이다.
창안젠은 “남중국해의 광활한 해저에는 중국 원유와 천연가스 매장량의 3분의 1이 있다”면서 “제2의 페르시아만이라고 불릴 만하다”고 강조했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