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대표를 지냈던 이정미 의원이 최근 정의당 데스노트에서 조국 법무부 장관을 제외한 것에 실망해 탈당계를 제출했다가 철회한 것으로 알려진 진중권 동양대 교수 관련 보도에 대해 과잉해석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 의원은 사법개혁 전선이 밀려선 안 된다는 판단에서 조 장관을 데스노트에서 제외했다는 취지로 해명했다.
정 의원은 26일 BBS 불교방송 ‘이상휘의 아침 저널’에 출연해 “조국 장관 사태 이후 정의당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은 과잉 뉴스화되고 있다”며 진 교수 관련 보도를 확대해석이라고 주장했다.
“진 교수 탈당 얘기가 당내 엄청난 분란이 일어난 것처럼 보도가 됐다”고 운을 뗀 이 의원은 “진 교수 입장에 조국 교수의 지인이고 또 동양대에 몸을 담고 있기 때문에 어떤 이유에서든 피로감이 굉장히 있었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것 때문에 당에 추석 직전 탈당 의사를 밝혔다가 현재 심상정 대표가 그것을 만류했다”고 한 이 의원은 “결국 진 교수가 정의당에 대한 애정이 있고 또 창당 초기부터 함께해왔기 때문에 극도의 피로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탈당까지는 가지 않겠다고 답했고 잘 마무리된 일인데 언론에 일파만파 돼 버렸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다만 “진 교수에게 직접 탈당을 고려했었다는 얘기를 직접 들은 적이 없다”며 “탈당계를 냈을 때 진 교수가 심리적으로 피로한 어떤 상황에 놓여 있지 않았을까라고 하는 저의 짐작으로 들어달라”고 했다.
‘정의당이 지난 7일 조 장관을 데스노트에 올리지 않기로 결정한 것에 대한 얘기가 많다’ ‘의견들이 분분하다고 들린다’는 질문에 대해 이 의원은 “(당은) 여러 생각이 모인 집합체이기 때문에 하나의 의견으로 완전히 100% 찬성 100% 반대 이렇게 갈 순 없는 사안”이라고 답했다.
이어 이 의원은 “임명권자인 대통령께서도 조국 장관 본인도 이번 임명에 대해 아무 문제가 없다고 말하진 않았다”며 “사법개혁의 절실함도 중요하고 인사청문 과정에서 드러난 불공정의 문제도 중요하다”고 했다.
“초기에 조국 후보자와 가족에게 제기된 의혹에도 불구하고 임명권을 존중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소환조사 없이 정경심씨를 기소하고 이번에 11시간 자택 압수수색을 한 과정에서 검찰 권력의 정치화가 굉장히 심각한 문제라고 봤다”고 한 이 의원은 “우리 사회의 불공정 문제는 정의당이 일관되게 해결해 나가는 어떤 실천 의지를 분명히 하면서도 검찰개혁의 시급성 엄중함이 있다고 판단하게 된 것”이라고 부연했다.
사법개혁과 사회개혁 중 사법개혁의 관점이 더 비중이 높다는 뜻이냐는 질문에 이 의원은 “어떤 것이 더 중요하고 시급하다고 보기는 어렵다”면서도 “입시제도 특히 명문대 입시제도를 둘러싸고 그 안에서만 공정성 문제를 바라보는 것은 굉장히 협소한 관점이라고 보고 있다”고 답했다.
이 의원은 “명문대 입학 못 해 좋은 기업에 취직하기 어려운 대한민국의 52% 청년들이 비정규직의 삶을 살아가는 실정에서 근본적인 사회개혁 시스템을 어떻게 작동시켜나갈 것인가 하는 과제도 분명히 있다”며 “사법개혁 관련된 사안도 대한민국 권력의 핵심이 도대체 어디에 있느냐 이런 것들도 극명하게 드러났기 때문에 상당히 심각한 문제라고 본다”고 했다.
이어 이 의원은 “ 두 가지를 잘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들을 정의당이 고민한 것이고 조국 사태를 둘러싸고는 사법개혁 전선이 밀려서는 안 된다는 판단을 한 것이라고 봐달라”고 했다.
“우리 사회의 불평등 불공정 문제에 대해 목소리를 높여왔던 정의당이 조국 문제에 대해 너무 관대한 거 아니냐며 실망한 분들 있다고 보고 충분히 이해한다”고 한 이 의원은 “이런 리스크를 감당하면서도 사법개혁에 대해서 뭔가 책임을 지고자 이런 판단을 했기 때문에 개혁이 반드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는 것이 실망한 분들에 대해 정의당이 해야 할 도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