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산림 관련 정책 수립 단계에 국민이 참여하고, 산림 관련 유관기관들의 역할이 강화될 전망이다.
산림청은 25일 국민참여 강화를 위한 ‘산림정책 소통체계 개선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내 삶을 바꾸는 숲, 숲 속의 대한민국’이라는 비전 아래 추진되는 이번 대책은 국민·산림청·지자체·유관기관·협의체 및 단체 등 5개 대상별 15대 중점 추진과제가 포함됐다.
산림청은 먼저 국민 체감도 향상을 위해 산림정책 수립 과정부터 국민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이를 위해 각 분야에 종사하는 국민을 중심으로 정책 패널을 구축, 산림에 대한 인식과 서비스 수요를 파악해 정책 수립 단계에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국유림 경영·관리와 벌채 등 산림사업에 국민이 참여하는 현장 모니터링단을 운영하고 미세먼지 저감 등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참여형 의사결정 모델도 발굴한다.
조직 내부 소통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주니어보드·정책토론방 등을 운영해 직원 스스로 조직 내 문제를 짚을 수 있도록 한다.
정책파트너인 지자체와의 소통·협력강화를 위한 대책도 마련됐다.
이를 위해 산림청과 지자체 간 인사교류를 확대하는 한편, 산림분야 워크숍 등을 사례공유·토론 중심으로 개선해 지자체 담당자들의 참여도를 높인다.
또 지역 현안 공유를 위한 지자체·지방산림청 주도의 산림분야 협의회를 운영하고, 각 시·군별 산림계획을 수립하고 지역협의체 구성을 지원한다.
산림청은 이밖에 산림분야 공공기관 및 산림조합 등 유관기관과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구상도 내놨다.
이는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분야별 협의회·단체와의 상시 소통채널을 구축하고, 민간주도의 사업모델 발굴을 통해 실현한다는 복안이다. 또 산림조합의 전국적인 조직과 인력을 바탕으로 임업인·국민과 접촉해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임업·복지 등 분야별 산림관련 단체들과의 정기적인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 소규모 단체들의 자립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을 추진한다.
이에 따라 소규모로 분산된 협의회와 단체들이 스스로 소비촉진, 품질향상 및 수급안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품목별 자조금 단체 구성을 지원한다.
김재현 산림청장은 “조직 내부적으로는 수평적 소통을 기반으로 산림행정을 혁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관 협업과 국민참여를 확대할 것”이라며 “앞으로 사람 중심 산림정책을 적극 추진해 숲 속의 대한민국을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