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컬리, 모든 포장재 종이로 전환… 친환경으로 간다

입력 2019-09-24 18:00
마켓컬리가 도입하는 친환경 종이 포장재들. 시계방향으로 종이박스, 종이 파우치, 종이테이프,종이 완충 포장재. 마켓컬리 제공

‘새벽배송’으로 유명한 마켓컬리가 100% 재활용이 가능한 종이로 모든 포장재를 전환한다.

마켓컬리는 24일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마켓컬리 사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배송 포장재에 스티로폼 대신 종이를 사용하는 ‘올페이퍼챌린지’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마켓컬리는 25일 주문분부터 새로운 포장을 적용하기로 했다.

김슬아 대표는 이날 간담회에서 “이제 지구와 환경을 위한 배송 포장재의 점진적이고 완전한 전환을 통해 기업과 사람, 환경으로 이어지는 선순환의 연결고리를 확장해나가고자 한다”며 “앞으로 모든 포장재를 종이로 전환해 나가는 한편, 회수한 종이 포장재를 재활용해 그 수익금으로 사회공헌 활동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25일 이후 마켓컬리에서 주문하면 냉동 제품 포장에 사용하는 스티로폼 박스 대신 친환경 종이 박스에 배송된다. 상품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넣는 완충재는 종이 완충 포장재로, 소포장에 사용하는 비닐 파우치와 지퍼백은 종이 파우치로 바꾼다. 박스 테이프는 종이 테이프로, 아이스팩은 100% 물로 채운 워터팩으로 변경한다.


마케설리는 포장재 종이 전환을 통해 기존 사용량 기준 연간 비닐 750t, 스티로폼 2130t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마켓컬리는 새벽배송 지역부터 냉동 보냉 박스에 종이 포장재를 먼저 도입하고, 배송 시간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소요되는 택배 배송 지역은 더 완벽한 준비를 거쳐 포장재 전환을 추진할 예정이다. 오는 2021년까지 사용하는 모든 포장재를 종이 소재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마켓컬리가 새로운 포장재 정책의 소재로 ‘종이’를 선택한 것은 많은 논의와 실험의 결과에서 비롯됐다. 식품 안전성, 위생 측면은 물론 실질적인 지속가능성과 친환경성 면에서 일회용이라도 재활용이 용이한 소재가 낫다는 점이 도입 배경이라는 설명이다.

종이 박스 회수도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이다. 마켓컬리는 고객이 다음 주문 때 박스를 집 앞에 내놓으면 회수해 재활용한다. 재활용해 발생한 수익금은 사회적기업 트리플래닛에 기부되고, 트리플래닛은 수익금으로 서울·경기 인근 초등학교 교실에 미세먼지 정화에 도움이 되는 식물 화분을 기증한다.


마켓컬리는 9월 기준 300만명의 회원을 보유한 새벽배송 1위 업체다. 2015년 첫해 29억원으로 출발해 2016년 174억원, 2017년 466억원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지난해 매출은 1571억원을 기록했다.


업계에서는 새벽배송 시장 규모를 지난해 기준 4000억원으로 추산한다. 올해는 약 8000억원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