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케이 “日정부, 치밀한 홍보 전략으로 욱일기 바르게 이해시켜야”

입력 2019-09-25 00:07
정박 중인 일본 해상자위대의 욱일기. 연합뉴스

일본 언론이 한국의 욱일기 반대운동을 경계하고 나섰다. 일본 정부가 욱일기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확산시켜야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 욱일기와 일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산케이신문은 23일 “욱일기를 ‘군국주의의 상징’으로 규정하는 한국이 욱일기의 경기장 반입금지를 촉구하는 운동을 시작했다”며 “도쿄올림픽 개막이 1년이 채 남지 않은 가운데 한국이 욱일승천기를 둘러싸고 첩보전을 펼치고 있어 대회를 앞둔 일본 정부의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에게는 한국의 일방적인 주장의 확산을 막으면서 욱일기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확산시키는 대외발신력이 요구되고 있다”고 전했다.

산케이에 따르면 오타카 마사토(大鷹正人) 일본 외무성 대변인은 지난 18일 기자회견에서 “욱일기의 디자인은 현재도 널리 사용되고 있고 긴 역사를 자랑한다. 욱일기가 특정한 정치적, 차별적 주장인 것처럼 주장하는 세력이 외부에 있다”고 말하며 한국을 에둘러 비판했다. 욱일기에는 어떤 정치적, 차별적 의미도 없다는 일본 정부의 주장을 되풀이한 것이다.

산케이는 한국이 이토록 강력하게 욱일기를 이용한 응원을 반대하는 것이 일본 정부의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수출심사우대국) 제외 결정 이후라고 분석했다. 욱일기 반대운동이 백색국가에서 제외된 것에 대한 보복의 일환이라고 본 것이다.

2020 도쿄패럴림픽 메달 디자인과 욱일기

그러면서 지난 11일 문화체육관광부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욱일기의 경기장 반입을 금지하는 서한을 보내고, 패럴림픽 메달의 디자인 수정을 요청한 것을 언급하며 “한국의 주장이 받아들여지는 건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앤드루 파슨스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 회장이 지난 12일 “패럴림픽 메달 디자인은 일본의 전통문화를 반영한 것”이라며 수정이 불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한국의 주장이 억지라는 말을 에둘러 전달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서도 산케이는 한국의 욱일기 반대운동이 거세지는 것만큼은 경계했다. “한국 정부가 욱일기에 대해 ‘주변국에 과거의 군국주의나 제국주의의 상징으로서 인식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도쿄올림픽과 관련한 한국의 선전 활동이 계속되면 욱일기나 일본에 대한 부정적인 인상이 확산될 수도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한 일본 외무성 간부는 산케이에 “(욱일기 문제는) 일본의 정체성과 관련된 이야기로, 올림픽 조직위원회에만 책임을 지워서는 안 되는 문제”라며 “세계인이 편향된 주장을 믿지 않도록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산케이는 “일본의 정당한 반론이나 논증에 대해 한국 측이 대일 비판을 격화시킬 가능성도 있는 만큼 치밀한 홍보 전략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