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알뜰폰(MVNO) 시장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을 내놨다. CJ헬로 인수를 앞두고 있는 LG유플러스가 중소 알뜰폰 업체와 상생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정부 승인을 유리한 방향으로 이끌어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LG유플러스는 24일 서울 종로구 S타워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중소 MVNO의 지속적인 사업 성장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공동 브랜드·파트너십 프로그램인 ‘U+MVNO 파트너스’를 발표했다.
U+MVNO 파트너스에 참여하는 사업자는 현재 LG유플러스의 이동통신망을 임대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소형 MVNO 12개사로, LG유플러스는 이들에게 △영업활동 지원, △인프라 지원, △공동 마케팅을 중심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먼저 LG유플러스는 단말기 구매 수량이 많지 않아 상대적으로 협상력이 부족한 MVNO 사업자들을 대신해 삼성·LG전자 등 단말 제조사와 중고폰 유통업체들과 직접 협상에 나설 계획이다. 이를 통해 신규 출시 스마트폰과 중고 인기모델 수급을 지원한다. 프리미엄 정액형 선불요금제도 출시해 알뜰폰 고객들의 요금제 선택폭을 넓힐 계획이다.
MVNO용 5G 통신 요금제도 준비한다. 다만 아직 중소형 MVNO 업체들의 고객 유치 능력과 보급형 5G 단말기 공급 상황 등을 고려해 시기는 조율 중이다.
알뜰폰 유통망 확대에도 나선다. 기존 GS25와 이마트24에 설치한 유심카드 전용 판매대를 오는 10월까지 LG유플러스 전국 2200여개 직영점 및 대리점에 구축한다. 또 현재 LG유플러스 서울·수도권 일부 매장에만 투입된 알뜰폰 선불 유심카드 판매 전담 직원도 내년 1월까지 전국 매장으로 확대 배치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MVNO 사업자들이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분야인 고객 홍보, 마케팅도 강화하기로 했다. 연말까지 U+MVNO 파트너스 전용 홈페이지를 오픈해 개별 사업자들의 고객들이 채널 접근 용이하게 하고, 공동 이벤트 행사 등도 준비할 예정이다. 또 오프라인 매장이 없어 고객 지원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 사업자들을 위한 서비스 지원 방안도 준비 중이다.
한편 이 같은 LG유플러스의 알뜰폰 지원 방안에 대해 경쟁사인 SK텔레콤과 KT는 “보여주기식에 불과하다”며 혹평하고 나섰다. 공정거래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진행 중인 인수심사에서 CJ헬로 알뜰폰 분리매각 등 LG유플러스 측에 불리한 시정조치가 논의되자 이를 막기 위해 허울뿐인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는 지적이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