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총리, 한·아세안 특별정상회 앞두고 외교부 군기잡기

입력 2019-09-24 15:21
이낙연 국무총리가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낙연 국무총리가 24일 외교부 군기 잡기에 나섰다. 이 총리는 전문 통역인 부재 등을 지적하며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준비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이 총리는 2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11월 하순에 부산에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와 한·메콩 정상회가 열린다”며 “아세안 10개국 정상과 기업인들을 포함해 1만여명이 온다”고 했다. 그러면서 “문재인정부 들어서 개최하는 국제회의 중 아마 최대 규모가 될 것 같다”고 했다.

이 총리는 아세안 국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우리 정부가 보다 선제적으로 이들을 공략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이 총리는 “아세안의 부상은 새삼스럽게 설명해 드릴 필요가 없을 정도”라며 “세계에서 역동적으로 성장하는 곳 중 하나”라고 치켜세웠다. 이어 “지난해 통계를 보면 교역상대로서 중국, 미국 다음이 아세안”이라며 “한국에 오는 관광객 숫자는 중국 다음으로 많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커졌기 때문에 잘하자는 게 아니라 진작부터 잘했어야 한다”고 지시했다.

특히 이 총리는 그동안 외교부가 아세안의 부상 등 ‘외교 다변화’를 마주하는 데 그 역할을 다했는지 물었다.

이 총리는 “외교 다변화가 외교부의 문서에 등장한 것이 박정희 대통령 시대부터일 것”이라며 “동남아를 비롯한 많은 나라들이 다변화 정책의 시야에 있었는데 그로부터 40년 이상이 흘렀다. 그런데 과연 우리의 태세가 거기에 걸맞는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반문했다. 이어 “올해가 한·아세안 수교 30년일 것”이라며 “그 30년 동안 우리가 충분히 노력했는가 충분치 않았다”고 했다.

이 총리는 전문 통역인 부재 등 이번 회의를 준비하는 데 있어 부족한 부분을 짚으며 정부와 기업, 대학 등이 나서 대책 마련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총리는 “전문인력이 퇴보적이다. 당장 통역 없는 나라들도 있어 이중 통역을 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라며 “전문인력을 확보해야 한다. 정부, 기업, 대학, 연구소 모두 뛰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