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법무부 장관의 부인인 정경심 동양대 교수가 24일 검찰을 상대로 “검찰 발로 표시되는 명백한 오보에 대해서는 검찰에서 사실관계를 바로잡아 달라”고 요구했다. 정 교수는 전날 자택 압수수색 전에는 “검찰만 알고 있는 것이 유출되고 있다”며 피의사실 공표 의혹을 강하게 제기했었다. 그런데 이제 와서 검찰에게 기자들을 상대로 피의사실을 일부 공표해달라고 요구하는 것이다.
정 교수는 이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저는 검찰의 소환 및 조사에 성실히 임할 것을 약속한다”며 “검찰 소환에 불응했다는 기사는 오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검찰 발로 표시되는 명백한 오보에 대해서는 검찰에서 사실관계를 바로잡아 주시기를 간곡하게 부탁드린다”고 검찰에 요구했다.
정 교수는 또 “수사 대상자에 불과한 사람이 언론 기사에 어떠한 언급을 하는 것 자체가 불순한 의도가 있는 것으로 오해를 받게 된다”며 “자숙하는 자세로 검찰의 소환을 기다리고 있겠다”고 했다. 아울러 “어제 오전에 올리려던 글이 압수수색으로 지체돼 이제 올린다”고 전했다.
정 교수의 이날 태도는 최근 보여준 태도와는 정반대다. 정 교수는 그건 ‘정경심의 해명’이라는 제목으로 페이스북에 언론 보도에 대해 적극 해명해왔다. “왜곡 보도”라며 강한 불쾌감을 표하기도 했다. 전날 자택 및 자녀가 지원한 대학에 대한 검찰의 전방위 압수수색이 이뤄지자 태도를 소극적으로 바꾼 것으로 보인다. 조만간 검찰 소환조사가 이뤄질 것을 대비해 페이스북에 구체적 해명과 입장을 내놓는 것을 최대한 자제하려는 시도로도 읽힌다.
다만 문제는 피의사실 공표를 비판했던 정 교수가 오히려 검찰에게 피의사실 공표를 해달라고 요구하고 나선 점이다. 정 교수는 지난 11일 페이스북에 “최근 검찰의 수사 과정에서 있었던 수사관계자만이 알 수 있는 내용이 여과 없이 언론에 보도되고 있는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검찰을 비판했다. 검찰이 피의사실 공표를 하고 있다는 뜻이다. 그런데 이날은 페이스북에 검찰 발로 표시되는 오보에 대해 검찰에서 대응해달라고 요구했다. 검찰이 오보 대응을 하려면 기자들에게 해당 보도가 왜 오보인지 설명을 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여러 수사 단서들이 노출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피의사실이 공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또한 형사 사건에서는 피의자의 변호인이 직접 기자들과 접촉해 보도에 대해 해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급한 경우에는 피의자 본인이 직접 나서기도 한다. 그런데 피의자가 검찰에 ‘나를 대신해 오보 대응을 해 달라’고 요구하는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한 부장검사 출신 변호사는 “남편이 법무부 장관이 아니었다면 저런 요구를 할 수 있겠느냐”며 “범죄 피의자가 장관 남편 ‘빽’을 믿고 수사 기관에 이래라 저래라하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검찰이 이래라 저래라 하는 태도를 보니 오히려 정 교수 말대로 검찰을 압박하려는 ‘불순한 의도’가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다른 변호사는 “확인되지 않은 추측 만으로 피의사실을 공표했다고 검찰을 비판하더니 이제와서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