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북핵대표, 24일 뉴욕서 비공식 협의…美 메시지에 주목

입력 2019-09-22 14:26

한국과 미국, 일본 북핵 협상 수석대표(국장급)들이 미국 뉴욕에서 유엔총회가 열리는 기간 동안 현지에서 비공식 협의를 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후지뉴스네트워크(FNN)은 22일 미국과 일본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이도훈 한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스티브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 다키자키 시게키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오는 24일(현지시간) 뉴욕에서 비공개 회담을 가질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하루 전인 23일에는 문재인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25일에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과 각각 정상회담을 갖는다. 한·일 관계가 여전히 경색돼 있어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만남은 불발될 전망이다.

한·미·일 북핵 협상 수석대표들의 만남은 우리 정부가 지난달 22일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를 결정한 이후 처음이다. FNN은 한국 정부가 지소미아를 파기한 것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어떠한 메시지를 꺼낼지에 관심이 몰린다며 해당 메시지가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한·일 관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관측했다.

한·일 양국은 이번 유엔총회 기간 동안 외교장관급 회담 개최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일본 언론은 양국 국장급 실무진들이 강경화 외교부장관과 모테기 도시미쓰 신임 외무상의 회담을 26일 개최하는 안을 두고 의견을 조율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회담이 성사될 경우 두 사람의 첫 대면식이다.

하지만 회담이 성사된다 해도 양국이 여전히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 문제, 일본의 대한국 수출규제 등의 쟁점에서 팽팽히 맞서고 있어 양측 이견이 좁혀질 가능성은 낮다.

모테기 외무상은 이날 NHK ‘일요토론’에 출연해 “한국이 한·일 관계의 기초를 뒤집었다”며 또다시 우리 정부를 비판했다. 그는 “‘구(舊) 한반도 출신 노동자’(일본이 ‘강제징용 피해자’를 지칭하는 표현) 문제에 대한 한국 대법원의 판결에 따라 한국이 국제법을 위반한 상황이 1년 가까이 이어지고 있다”며 “한국이 국제법 위반 상황을 조금이라도 빨리 정정하도록 강하게 요구하겠다”고 주장했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