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법무부 장관 가족이 투자한 사모펀드 운용사 코링크PE가 자동차 부품업체 ㈜익성의 우회상장을 위해 설립됐다는 정황이 잇따라 나왔다. 조 장관의 부인인 정경심 동양대 교수가 투사자 직원에게 ‘익성에 대해 알아봐 달라’고 부탁했다는 진술과 코링크PE 설립 과정에서 익성이 깊숙이 관여한 정황이 담긴 녹취록이 공개됐다.
중앙일보는 법조계를 인용해 검찰이 한투증권 김씨로부터 “정교수가 사모펀드에 투자할 때 더블유에프엠(WFM)에 대해 알아봐달라고 하면서 ‘익성도 함께 알아봐 달라’고 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이 진술은 ‘코링크라는 이름 자체를 이번에 알게 됐고 사모펀드라는 게 뭔지도 몰랐다. 제 처도 전문 투자자가 아니다’라는 조 장관의 기자회견 발언과 배치되는 대목이다. 정 교수와 조 장관의 두 자녀가 ‘블루코어밸류업1호’에 10억5000만원을 출자한 시점을 전후해 같은 운용사의 다른 펀드 투자처까지 알고 있었음을 시사하기도 한다. 때문에 검찰은 익성을 사모펀드 관련 주요 수사 대상으로 보고 있다.
익성은 자동차 소음을 흡수하는 방음재를 만드는 현대자동차 2차 협력업체다. 지난해 기준 연 매출 700억원, 당기순이익 25억원을 기록한 이 회사는 조 장관의 5촌 조카가 일했던 곳이기도 하다. 익성은 또 코링크PE 가 처음 설정한 사모펀드 ‘레드코어밸류업 1호’가 2017년 1월 투자했다.
이와 함께 코링크PE 설립 과정에서 익성이 깊숙이 관여한 정황이 담긴 녹취록도 공개됐다. 한겨레는 코링크PE가 설립되기 5개월 전인 2015년 9월 조 장관의 5촌 조카 조모씨와 익성 이모 부사장이 나눈 통화 녹음파일을 입수해 20일 공개했다.
이 녹취록은 사건 관계자를 통해 건네받았다고 매체는 설명했다. 녹취록을 건넨 관계자는 한겨레에 “애초 코링크 설립은 익성을 상장시키기 위한 성격이 컸다”며 “익성 회장의 결정을 통해 코링크 설립이 진행된 정황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공개된 녹취록엔 이 부사장이 조씨에게 “(익성)회장님께 방금 다 말씀드렸다. 구도대로 끌고 가는 게 맞겠다고 말씀하시며 중간에 처리할 수 있는 게 있으면 처리하라고 말씀하셨다”며 “불협화음이 계속 나니까 상장 후 하자고 말씀드렸는데 2015년 12월까지 안을 짜보라 하셨다”고 말했다. 이 녹취록엔 코링크 PE가 설립되기 전이이서 코링크 PE의 이름이 직접적으로 등장하진 않지만 익성 회장에게 관련 구상을 보고하고 재가받는 내용으로 풀이된다.
녹취록엔 조 장관 가족 펀드가 투자한 ‘윌스씨앤티’를 함께 우회 상장할 기업으로 보고 투자자를 구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대목도 담겼다. 이 부사장이 또 다른 운용사를 거론하며 “(투자) 관계 운 띄우라고 했잖아. 그거 말씀드리니까,(중략) 그분 입장에서는 투자 안 할 이유가 없는 거다. 한쪽만 아니라 양쪽에서 다 돈 버는 건데…(중략) 돈 10억이니까 (중략) 필요할 때 따로 얘기하라고 하셨다”고 했다.
코링크 PE 설립에 관여했던 관계자는 “코링크 설립 당시 자금이 상당 부분 익성 쪽에서 왔고 실무 책임도 익성의 이 부사장이 지는 구조였다”며 “당시 조씨는 실무 진행과 페이퍼 워크를 주로 담당했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날 충북 음성의 익성 본사와 이봉직 회장 자택 등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을 했다. 익성 자회사인 2차 전지 음극재 기업 아이에프엠(IFM)의 김 전 대표의 자택도 압수수색했다. 코링크PE 설립 주체로 의심받는 익성은 사모펀드에서 투자받는 형식으로 회계 문제 등을 정리하고 주식시장에 회사를 상장하려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히 익성의 자회사인 IFM은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세워졌으며 문 정부의 국정 과제인 배터리 사업 육성 정책과 맞물리는 업체라는 점에서 의혹이 가중된다. 증권업계에선 익성의 이런 행태를 국가 정책 사업을 내세워 회사 가치를 띄우고 상장까지 노리는 전형적인 ‘작전 세력’의 움직임이라고 보고 있다. 2016년 2월 설립한 코링크PE는 첫 사모펀드로 40억원 규모의 ‘레드코어밸류업1호’를 만들고 일부를 익성에 투자해 익성 3대주주가 됐다. 40억원도 익성에서 나온 자금이라는 의혹도 나오고 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