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동아태차관보 “홍콩 송환법 철회, 美가 中 압박한 결과”

입력 2019-09-20 15:46 수정 2019-09-20 15:47
데이비드 스틸웰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미국 정부의 대(對) 중국 압박이 홍콩 정부의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공식 철회로 이어졌다는 주장이 미국 국무부 고위 관료의 입에서 나왔다. 미국이 홍콩 시위의 배후라는 중국의 주장에는 “아무런 증거가 없다”고 반박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0일 데이비드 스틸웰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지난 18일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서 홍콩 시위에 대해 “송환법 철회는 미국이 중국 중앙정부에 압력을 넣어 옳은 일을 하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스틸웰 차관보는 또 “우리(미국)는 100일간 계속되는 홍콩 시위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캐리 람 행정장관은 지난 4일 송환법 공식 철회와 함께 다양한 계층과의 대화, 경찰민원처리위원회(IPCC)에 의한 경찰 진압 과정 조사, 홍콩 사회 문제의 뿌리 깊은 원인 조사 등 4가지 대책을 내놨다.

스틸웰 차관보는 이에 “시위대가 우려하는 문제를 해결하려는 대화나 노력은 어떤 것이라도 효과를 발휘할 것”이라며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은 이와 관련해 긍정적인 움직임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람 장관은 ‘시민과 대화’ 행사로 오는 26일 홍콩 퀸엘리자베스 경기장에서 완차이 주민 150명과 만날 계획이다.

다만 홍콩 시위에 미국이 간섭해 내정간섭이라는 중국의 주장에는 “미국이 간섭하고 있다는 주장에는 동의할 수 없다”며 “이는 아무런 증거가 없다”고 반박했다.

미국 의회에서 초당적으로 추진 중인 ‘홍콩 인권민주주의 법안’에 대해서는 “홍콩 문제를 다루는 데 많은 정책적·법률적 옵션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법안이 강조하는 것처럼 우리는 수사(修辭)적, 법률적 지원을 계속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6월 발의된 이 법안에는 홍콩의 자유를 억압하는 데 책임 있는 사람들에게 미국 비자 발급을 금지하고, 미국 기업과 금융 거래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또 미국이 매년 홍콩의 자치 수준을 평가해 홍콩의 특별지위 지속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내용도 담겼다. 홍콩은 현재 중국과 달리 관세나 투자, 무역, 비자 발급 등에서 미국의 특별대우를 받고 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