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23일 트럼프와 뉴욕에서 정상회담…한반도 평화, 한미동맹 등 논의

입력 2019-09-19 16:47

문재인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갖고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진전과 한·미동맹 강화를 논의한다. 두 정상 간 회담은 9번째로, 지난 6월 서울 회담 이후 약 3개월 만이다. 이번 회담에서는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와 방위비 분담 등 안보 현안도 협의될 전망이다.

청와대는 19일 문 대통령이 제74차 유엔 총회 참석을 위해 22일부터 26일까지 3박 5일간의 일정으로 미국 뉴욕을 방문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취임 후 3년 연속 유엔 총회에 참석하게 된다.

문 대통령은 방문 기간 중인 23일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는다. 최종건 청와대 평화기획비서관은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협력 방안에 대해 협의하고, 한·미동맹을 더욱 공고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과 역내 현안에 대해서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회담은 이달 말로 전망되는 북·미 협상이 임박한 가운데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이어서 주목된다. 북·미 간 비핵화 협상과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진전뿐 아니라 개성공단 재가동, 금강산 관광 재개 등 남북 경제협력사업과 민간 교류, 인도적 협력 사업 재개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도 관심사다.

또 한국 정부가 지소미아 종료를 발표한 이후 불거진 미국과의 일부 불협화음, 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 등 예민한 현안들도 회담 테이블에 오를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23일 한·미정상회담 외에 폴란드·덴마크 정상과 각각 회담을 갖고, 안토니오 구테헤스 유엔 사무총장과도 면담한다. 또 구테헤스 사무총장이 주최하는 기후행동 정상회의에 참석해 내년 한국과 덴마크가 공동주최하는 제2차 P4G(녹색성장 및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 정상회의 계획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또 24일 유엔총회 기조연설에 나서 한반도 평화 정착과 공동 번영을 위한 정부의 노력을 설명하고 국제사회의 지지를 요청할 계획이다. 또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을 접견해 내년 도쿄올림픽 남북 단일팀 구성·개막식 공동입장, 2032년 하계 올림픽 남북 공동유치 등을 논의한다. 한·호주 총리와 정상회담, 간디 탄생 150주년 기념 고위급행사 참석도 예정돼 있다.

청와대는 이번 유엔총회를 통해 한반도 문제뿐 아니라 기후변화, 빈곤퇴치 등 글로벌 현안에 대한 한국의 기여를 확대하고, 국제무대에서 중견국가들과 협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이번 방문에서 관심을 끌었던 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면담이나 조우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이날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와 한·미 북핵수석대표 협의를 위해 미국 워싱턴으로 떠났다. 이 본부장은 출국에 앞서 인천국제공항에서 취재진과 만나 “(북·미가) 대화의 모멘텀을 이어나가고 여러 가지 문제에 있어서 실질적인 진전을 가져오려면 서로 유연하게 접근해야 한다”며 “북한이 대화 재개 의사를 밝힌 시점에서 한·미 간 할 이야기가 많을 것 같다”고 말했다. 북·미 비핵화 협상이 본궤도에 오를 수 있도록 우리 측이 미국에 ‘유연한 접근’을 강조하고, 설득할 것으로 보인다.

임성수 이상헌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