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에 노인일자리를 포함한 사회서비스일자리 9만6000개를 추가로 늘린다. 취약계층의 경제적 자립과 사회 참여를 유도하고 아이돌봄과 같은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보건복지부는 19일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포용사회를 위한 사회서비스 선진화 계획’을 발표했다. 사회서비스 공공 인프라 구축과 일자리 확충은 문재인정부의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다. 2022년까지 일자리 34만개 창출이 목표다.
내년에는 우선 취약계층인 노인과 장애인의 소득 창출을 위해 노인일자리 1만7000개와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1만개를 각각 확충한다. 노인일자리의 질이 낮다는 지적에 대해 복지부 관계자는 “낮은 임금이긴 하지만 (참여자의) 만족도가 높고 이들의 삶의 질 제고에도 (노인일자리가)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다”고 했다.
사회서비스 수요 증가에 따른 인력 공급도 이번 일자리 계획에 포함됐다. 내년 3월부터 시행하는 어린이집 연장보육에 맞춰 연장보육을 전담할 교사 일자리가 1만2000개 새로 생긴다. 양육공백 발생 가정 9만가구에 종일제·시간제 아이돌보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아이돌보미 일자리 4000개, 온종일돌봄 일자리 1618개를 확충한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대를 위해 관련 일자리가 5800개 늘어난다. 정신과적 문제로 긴급상황 발생 시 24시간 대응할 정신건강복지센터 응급개입팀 34개를 만드는 데 204명이 신규로 투입된다. 10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미세먼지 배출 감시단으로 1000개의 일자리가 생긴다.
고용 형태는 공공기관 직접고용부터 공무직, 기간제 등 다양하다. 최저임금과 10개월 이상 고용, 4대 사회보험 가입, 주휴수당이 보장된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