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19일 “평양공동선언의 실질적인 이행을 통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의 완성을 끝까지 견인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이날 서울 종로구 남북회담본부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1주년 기념식’에 참석, 이렇게 말했다. 기념식에는 김 장관을 비롯해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등이 참석했다. 당초 통일부는 경기도 파주 도라산역에서 기념식을 진행할 예정이었지만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병으로 인해 서울에서 기념식을 축소·진행했다.
김 장관은 “평양공동선언의 이행 과정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이뤄졌다”며 “특히 군사 분야에서의 구체적 신천으로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이 크게 완화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육·해·공에서 상호 적대행위 중단에 따른 남북 간 우발적 충돌 가능성 축소와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비무장화, ‘DMZ 평화의 길’ 조성 등을 언급했다. 앞서 남과 북은 지난해 9월 19일 평양에서 열린 남북 정상회담을 열고 상호 간 적대행위를 전면 중지하는 9·19 군사합의를 체결했다.
조만간 재개될 것으로 보이는 북·미 비핵화 실무협상에 대한 드러내며 우리 정부도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최선희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은 지난 9일 밤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문에서 “우리는 9월 하순경 합의되는 시간과 장소에서 미국 측과 마주 앉아 지금까지 우리가 논의해온 문제들을 포괄적으로 토의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시간은 기다리는 사람이 아니라 해결하려는 사람의 편”이라며 “북·미 모두 지금의 소중한 기회를 소홀히 여기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이어 “오랜 불신과 대립의 벽을 넘어야 하는 일이기에 앞으로의 과정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며 “서로에 대한 신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 정부도 할 수 있는 모든 역할을 다하겠다”며 “실무협상에서 좋은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미국 측과 긴밀히 협력하고 남북 간 대화와 소통 채널도 항상 열어 두겠다”고 말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