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내 6개 시·군 주민들이 백두대간을 관통하는 송전선로의 건설 백지화를 위한 연대투쟁에 나섰다.
홍천과 횡성, 영월, 평창, 정선, 태백 송전탑반대대책위원회는 18일 오전 강원도청 앞에서 동해안~신가평 송전선로 건설 백지화를 위한 강원도송전탑반대대책위원회 출범식을 가졌다. 대책위는 성명서에서 “한전은 밀양사태 이후 송전선로사업을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진행키 위해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해 철탑 입지를 선정하겠다고 발표했다”며 “그러나 한전은 주민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진행된 입지선정 위원을 선임하는 등 밀실에서 사업을 진행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강원도는 20여년 전 765Kv송전탑 설치로 인한 환경파괴와 자연경관훼손,재산가치하락 등 많은 피해를 감수해 왔다”며 “한전이 투명한 입지선정위원회 구성을 약속하고도 밀실에서 진행한 만큼 모든 지역이 힘을 합쳐 건설백지화를 위한 대응수위를 높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대책위는 송전탑 건설사업 백지화를 위해 상경투쟁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할 방침이다. 특히 주민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진행된 입지선정 위원 선임과 노선 결정 등 송전탑 건설에 관련한 모든 사안이 취소될 때까지 연대투쟁을 벌인다는 계획이다.
대책위와 강원도에 따르면 한전은 신한울 원전 1, 2호기와 강릉·삼척 화력발전소 등에서 나오는 전력을 수도권에 보내기 위해 2021년 말까지 송전철탑 440기와 선로길이 220㎞ 이르는 ‘500㎸ HVDC 울진~신가평 고압송전선로 건설사업’을 추진 중이다. 송전선로 경과 예정지역은 경북도와 강원도, 경기도 등 3개 도 11개 시·군이다. 이중 도내에는 7개 시·군에 200여기에 달하는 송전탑이 설치될 예정이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