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인천시 방역당국도 안간힘

입력 2019-09-18 13:27
18일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한 경기 연천군의 한 돼지 농장으로 들어가는 길목에서 방역 관계자가 소독 작업을 하고 있다. 뉴시스 제공

지난 17일 경기도 파주 소재 돼지농장에서 국내 최초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African Swine Fever)이 발생한뒤 18일 경기도 연천군의 추가 의심축이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확진됨에 따라 인천시 방역당국도 비상이 걸렸다.

인천시는 경기도 파주 발생농장 소유주의 제2농장(20㎞ 이상 거리)에서 지난 16일 인천 도축장으로 출하된 돼지(136마리)가 있는 것으로 파악돼 예방차원에서 유통중지 조치를 내린 데 이어 이날 폐기키로 했다. 다행히 제2농장의 아프리카돼지열병 검사결과는 이날 새벽 음성으로 판정됐다.

경기도 발생 역학 관련 시설(발생 농장방문 차량이 방문한 시설 등)에 대하여는 농장의 경우 임상예찰과 실험실 검사를 실시하고, 시설에 대하여는 청소 및 소독 등 신속한 방역 조치중이다.

인천에는 북한 인접지역인 강화군, 옹진군을 비롯하여 현재 5개 군·구 43농가에서 4만3108마리의 돼지를 사육중이다. 현재 인천에 남은음식물을 급여하는 양돈농가 및 방목사육 농가는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인천시는 지난 6월 북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시기부터 시 및 군·구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유입방지를 위해 방역상황실 및 24시간 비상연락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강화군 강화대교와 초지대교에 소독·통제초소를 설치해 24시간 운영중이다.

박준하 행정부시장은 “돼지농장별 소독통제 실시와 거점소독시설 운영 강화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면서 “농장 외국인 노동자간 접촉금지, 발생지역 및 발생국가 방문 자제 등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인천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지난 17일 아프리카돼지열병 위기경보가 심각단계로 격상됨에 따라 인천시청 재난상황실에 재난안전대책본부를 마련해 인천시장을 본부장으로 6개 실무반(8개부서와 군부대, 경찰 등 유관기관 포함)을 편성해 상황종료시까지 운영한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