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돼지열병 확진에 양돈단지 밀집한 충남도 ‘비상’

입력 2019-09-17 15:20 수정 2019-09-17 15:32
충남도 관계자들이 17일 충남보건환경연구원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관련 긴급방역회의를 하고 있다. 충남도 제공

경기도 파주에서 아프리카 돼지열병(ASF)이 확진됨에 따라 국내 최대 양돈단지가 밀집한 충남도에도 비상이 걸렸다.

17일 각 시군, 축산단체와 함께 긴급 방역회의를 개최한 충남도는 전국 일시이동중지 명령에 따라 축산차량 이동제한 조치를 준수토록 하고 농장 간 생축이동 금지, 양돈농가 모임·행사 금지 등의 조치를 취했다.

또 소규모 농가 및 방역 취약 지역은 공동방제단과 함께 광역방제기를 동원해 소독을 지원키로 했다.

특히 농장 7곳, 도축장 1곳, 사료공장 2곳 등 ASF발병농장과 역학관련이 있는 도내 시설을 대상으로 이동제한·정밀검사를 실시하는 한편 각 시군 및 관련기관 등에 발생상황을 긴급 전파했다.

양승조 충남도지사는 “가장 먼저 도내 역학 관련 시설 10개소에 대한 이동제한 및 정밀검사 조치를 17일 내 완료하라”며 “축산 차량 이동중지 이행 여부를 철저히 확인하고, 전 시군에 거점소독시설을 신속히 설치·운영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이어 “잔반 급여 금지가 이뤄지는지 철저히 확인하고, 야생멧돼지 포획틀 및 울타리를 신속히 설치할 수 있도록 조치하라”며 “시·군 및 공동방제단에서 보유한 광역살포기 등 소독차량을 총동원해 양돈농가와 도축장, 분뇨처리시설 등 축산 시설을 철저히 소독할 것”이라고 했다.

ASF전담관 318명을 동원해 도내 전체 양돈농가의 긴급예찰을 실시 중인 도는 위기경보가 ‘심각’ 단계로 격상될 것을 대비해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설치하고, 경기도 인접지역을 중심으로 거점소독시설·통제초소를 설치해 차단방역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양 지사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전파 속도가 구제역보다 느리고 바이러스가 직접적으로 돼지와 접촉해야만 감염이 일어난다고 한다”며 “우리가 경각심을 갖고 철저한 방어벽을 구축한다면 막아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