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출산 장려 대신 귀농·귀촌·은퇴자 유입으로 정책 전환

입력 2019-09-17 14:58 수정 2019-09-17 15:24

전북도가 인구 늘리기 정책을 출산 장려에서 귀농·귀촌자와 은퇴자 등 외지인 유입 장려로 바꾸기로 했다. 그동안 펼쳐온 다양한 출산 정책이 실효성이 적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전북도는 귀농·귀촌자와 은퇴자 유치를 뼈대로 한 ‘제2의 고향 만들기’ 사업을 내년부터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도는 이를 위해 7개 과제 20개 세부사업을 마련했다.

전북도는 유입할 인구를 귀농귀촌, 은퇴자, 해외동포 귀국인, 다문화, 수도권 소재의 도내 출신 대학생 등 특성별로 구분해 맞춤형 인구 유입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7대 사업은 제비(JB)고향회귀센터, 체류도시 시범사업, 베이비붐 교육연수원, 공유농업, 청년참여형 리빙랩, 하늘·바람·물 전북 청정지역 지정, ICT 청년업무지구 조성 등이다.

제비(JB)고향회귀센터는 농업이나 어업, 전문직, 서비스업 등 다양한 직군의 도내 유입을 위한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한다. 체류도시 시범사업은 고창, 남원, 무주와 같이 체류인구가 많은 지역이 대상이다. 전북지역에서 직장을 다니는 체류자들에게 사이버 도민증을 발급해 관광지 입장료 할인이나 홍보지 제공 등 도민과 같은 혜택을 주는 정책이다.

베이비붐 교육연수원은 은퇴자의 노후 지원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베이비붐 세대의 안정적인 소득 기반을 창출하기 위한 사업이다. 공유농업은 농업종사자와 농지가 많은 전북의 특성을 활용해 농지로부터 생산된 식품이나 파생되는 서비스를 다른 지역민들과 공유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청년참여형 리빙랩과 전북 청정지역 지정, ICT 청년업무지구 조성 프로젝트 등도 청년인구 정주, 귀농귀촌, 청년의 지방 이주를 유도하는 대표 사업이다.

전북도는 실국별로 사업 추진의 타당성과 가능성을 검토한 뒤, 내년 신규 시책에 반영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제2고향 만들기는 인구 유입 활성화에 초점을 둔 도정 역점과제”라며 “귀농귀촌인, 청년의 이주를 관심‧방문‧정착단계로 구분해 단계별 맞춤형 인구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8월말 현재 전북의 주민등록 인구는 182만 3982명이나 조만간 180만명 선이 무너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