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정부가 동물등록제를 강화한다고 밝힌 가운데 유명무실하던 ‘펫보험’이 활성화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17일 농림축산식품부는 동물등록제 강화를 위해 반려동물에 대한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앞으로 반려동물 구매와 등록이 동시에 이뤄지도록 제도를 보완할 예정이다. 또 반려동물 등록 시 칩 삽입, 목걸이 착용 외에도 간편한 바이오 인식을 적용하도록 기술개발에 투자할 방침이다.
동물등록제 강화에 따라 펫보험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반려동물 양육비와 치료비에 부담을 느끼는 사람도 많아졌지만 펫보험에 대한 관심은 크지 않았다. 영국의 펫보험 가입률은 약 20%, 미국은 10%지만 국내 펫보험 가입률은 0.1%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보험사들도 그동안 펫보험 상품 확장에 소극적이었다. 보험사 입장에서는 미비한 동물등록제로 보험금 중복 청구를 가려내지 못한다는 점이 문제이기도 했다. 동물등록제가 개선되면 보험금 중복 청구 행태도 사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중계약을 조회하기 위해서는 반려동물 등록번호가 필요한데 동물등록제가 이를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동물등록제 개선만으로 펫보험 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시각도 있다. 국내 동물병원 진료비는 병원마다 자유롭게 책정돼 보험금 측정도 어렵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동물등록제가 강화될 경우 펫보험 가입자들의 보험금 중복 청구를 가려내기 쉬워져 펫보험 시장을 활성화하는 데 일부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도 “동물병원 진료비가 제각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손해율 악화를 해결하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