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소형 드론’ 타격하는 레이저대공무기 개발 착수

입력 2019-09-17 09:26
레이저대공무기(Block-Ⅰ) 형상도. 방위사업청 제공

테러와 공격, 무단정찰 등의 수단으로 이용되는 소형 무인기를 격추할 수 있는 레이저대공무기가 개발된다. 방위사업청은 17일 레이저 대공무기 체계개발 사업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레이저대공무기는 광섬유에서 생성된 광원 레이저를 표적에 직접 쏴 무력화시키는 신개념 무기체계로, 근거리에서 소형 무인기와 멀티콥터 등을 정밀 타격할 수 있다. 눈에 보이지 않고 소음이 없을 뿐 아니라 별도의 탄 없이도 전기만 공급되면 운용이 가능하다. 1회 발사 비용이 약 2000원에 불과하다고 방위사업청은 설명했다.

국방과학연구소는 올해부터 약 880억원을 투자해 2023년까지 레이저대공무기 체계 개발을 완료하고 전력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국방과학연구소는 그동안 핵심기술 연구를 통해 출력 향상을 위한 빔 결합 및 추적·조준 기술을 연구해 왔다.

앞으로 ‘진화적 개발 전략 개념’을 도입해 전투기 및 위성까지 요격할 수 있도록 성능을 지속해서 향상해 나갈 예정이다. 이 때문에 이른바 ‘한국형 스타워즈’ 사업으로 불린다.

진화적 개발 전략 개념은 무기체계 개발 때 기술의 개발 및 확보 시기와 개발 위험도를 고려해 작전 운용 성능의 목표치를 분할하는 것이다. 동일한 개발 단계를 2회 이상 반복 적용해 최종적으로 개발을 완료하는 전략이다.

방위사업청 송창준 유도무기사업부장은 “레이저대공무기 사업은 전 세계적으로 전력화한 국가가 아직 존재하지 않는 레이저 무기체계를 진화적 개발 전략을 도입해 도전적으로 연구·개발하는 사업”이라고 말했다. 그는 “개발이 완료되면 적 소형무인기 및 멀티콥터에 대한 대응 능력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국방과학기술 역시 한단계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