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회사 아람코의 최대 석유 시설 2곳이 피폭되면서 국제유가가 폭등세를 보였다. 16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0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보다 배럴당 14.7%(8.05달러) 뛴 62.90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WTI는 장중 15.5%까지 오르기도 했다. 로이터통신은 2008년 12월 이후 약 11년 만의 ‘퍼센트 기준, 하루 최대폭’의 급등이라고 평가했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11월물 브렌트유도 오후 5시10분 기준 배럴당 13.05%(7.86달러) 상승한 68.08달러에 거래됐다. 브렌트유는 전날 밤 약 20% 폭등하기도 했다. 로이터통신은 이 역시 1990~1991년 걸프전 이후 하루 장중 최대폭의 급등이라고 설명했다.
사우디 내무부는 지난 14일 새벽 아람코가 보유한 사우디 동부의 아브카이크 탈황시설과 쿠라이스 유전 등 석유시설 2곳이 드론 공격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원유 설비 가동이 당분간 중단되면서 사우디는 하루 평균 570만 배럴가량의 원유 생산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는 사우디 하루 산유량의 절반이자, 전 세계 산유량의 5%에 해당한다.
예멘 후티 반군은 자신들이 운영하는 알마시라 방송을 통해 “사우디의 석유시설 2곳을 무인기 10대로 직접 타격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히며 공습 배후를 자처했다. 그러나 미국은 후티 반군을 지원하는 이란을 배후로 의심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전날 트위터를 통해 “범인이 누군지 안다고 믿을 만한 이유가 있다. 우리는 검증(결과)에 따라 장전 완료된(locked and loaded) 상태”라며 군사 공격을 감행할 준비가 돼 있음을 시사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