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EA서 한국이 ‘후쿠시마 오염수’ 공론화하자 일본이 내놓은 반응

입력 2019-09-17 06:23 수정 2019-09-17 09:57

정부가 국제원자력기구(IAEA) 총회에서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후 원전 오염수 처리 문제를 공론화했다. 이에 일본 정부는 과학적으로 증거가 없는 비판이라고 반박했다.

문미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은 현지시각으로 16일 오후 오스트리아 비엔나 IAEA 본부에서 열린 63차 IAEA 정기총회에서 171개 회원국 대표들이 모인 가운데 기조연설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관련된 발언을 했다.

문 차관은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 오염수 처리 문제가 해답을 찾지 못하는 상황에서 전 세계적으로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며 “최근 일본 정부 고위 관료는 원전 오염수 처리 방안으로 해양 방류가 불가피하다고 언급하기 시작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원전 오염수 처리가 해양 방류로 결정될 경우 전 지구적 해양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국제 이슈로 일본 국내만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IAEA가 후쿠시마 사고 처리에서 일본과 적극적으로 역할을 해 온 것처럼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처리 문제에도 동일한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일본의 원자로 상태 및 오염수 현황에 대한 현장 조사와 환경 생태계에 대한 영향 평가 등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한 문 차관은 “국제사회가 안전하다고 확신할 만한 원전 오염수 처리 기준과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일본은 한국 정부의 우려가 과학적 근거가 없다고 반박했다. 일본의 다케모토 나오카즈 과학기술상은 문 차관에 앞서 진행한 기조연설에서 “일본의 조처에 대해 과학적으로 증거가 없는 비판들이 있다”며 “몇몇 국가가 일본산 식품의 수입을 규제하고 있다. 일본이 후쿠시마 사태를 딛고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장애물이 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그는 또 “일본이 제공한 자료와 관련된 IAEA의 보고서를 토대로 국제사회가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논의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앞서 정부는 지난 5일 IAEA에 서한문을 보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해양방류 가능성과 이에 따른 환경 영향 우려를 전달했다. 또 일본의 오염수 처리 문제에 대해 국제기구화이해 당사국이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과기정통부와 원자력안전위원회, 외교부 등으로 구성된 정부대표단은 IAEA 사무총장 대행을 만나 이 기구의 적극적인 역할을 계속 요청할 예정이다.

IAEA에 특정 국가를 직접 규제할 권한은 없다. 다만 정부는 이 기구를 통해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을 확산하고 공동 권고안을 만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후 일본 후쿠시마 원전엔 오염수가 계속 늘고 있다. 일본은 이 오염수를 처리하지 못해 대형 물탱크에 넣어 원전 부지에 보관하고 있다. 오염수 양은 7월 말 기준으로 115만 톤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오염수는 하루 150톤씩 증가하고 있다. 도쿄전력은 부지 제약으로 2022년 8월 오염수 저장 탱크가 가득 찰 것으로 내다봤다. 일본 정부는 정화시설을 통해 오염수를 정화했다며 ‘처리수’로 부르고 있지만 정화를 거친 물에도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트리튬)가 남아 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