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가는 서울시…지난해 65세 이상 인구 14% 넘어 첫 고령사회 진입

입력 2019-09-17 06:00 수정 2019-09-17 06:00

서울시 인구 변화

서울시가 지난해 처음으로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서울시의 총인구는 1988년 1000만명을 돌파한 이후 30여년만에 다시 1000만명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는 인구변화 추이와 함께 인구변화가 서울시민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를 처음으로 실시하고 분석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서울시 조사결과 2018년 말 서울시 전체인구는 1004만9607명으로 나타났다. 이중 65세 이상 인구(141만명)가 14.4%를 차지하며 처음으로 ‘고령사회(Aged Society)’에 진입했다. 유엔은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총인구의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하고 있다.

서울시 65세 이상 인구변화

서울시는 65세 이상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지난 2005년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데 이어 지난해 고령사회가 됐다. 이같은 노령인구 증가 추세를 고려하면 2026년에는 초고령 사회가 될 것으로 시는 예상하고 있다.

서울시 전체인구와 등록 내국인 수는 2010년 이후 꾸준히 감소한 반면, 서울 거주 외국인은 1995년 4만5000여 명에서 2018년 28만4000여 명으로 23년 만에 6배 이상 증가했다.

최근 3년 간 서울시 순전출 인구(전출자 수-전입자 수)가 평균 8만명 이상인 것을 고려할 때 올해 말~내년 상반기에 서울시 등록인구가 1000만 명 이하로 감소할 것이라고 서울시는 밝혔다.

이같이 꾸준히 감소 추세인 서울시 인구변화에 대해 서울시민의 39.6%는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이 없다”고 응답했다. “부정적”은 37.9%, “긍정적”은 22.5%이었다. 시민들은 인구감소로 인해 좋아지는 분야로는 ‘자연환경’과 ‘주거’, 나빠지는 분야로는 ‘사회’와 ‘복지’를 꼽았다.

이번 조사‧분석은 감소 추세에 있는 서울인구에 대한 시민의견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시 주민등록자료’와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조사’를 토대로 이뤄졌다.

2018년 서울시 인구 피라미드

서울시는 지난해 말 ‘고령사회’에 첫 진입한 가운데 생산 가능 연령층(15~64세) 인구가 부양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나타내는 지표인 ‘부양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노령인구 증가와 생산 가능 인구의 감소가 부양비 증가의 원인으로 분석됐다.

최근 3년 간 노년(65세 이상) 인구비는 매년 평균 0.6%p 증가한 반면, 유소년(14세 이하) 인구비는 평균 0.3%p 감소했다. 2014년을 기점으로 노년 인구가 유소년 인구를 넘어서며 그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고 있다. 부양비는 총인구 중에서 생산가능연령층(15-64세) 인구에 대한 비생산연령층(0-14세, 65세 이상 인구의 합) 인구의 백분비를 말한다.

서울시 인구의 자연증가(출생자 수-사망자 수)는 계속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출생자 수는 급격하게 감소 중인데 반해 사망자 수는 소폭 증가한 결과로 풀이된다.

서울시 인구감소의 가장 큰 요인은 ‘경기도 지역으로의 전출’인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집값 등을 이유로 신도시로 대거 이동한 결과로 분석된다. 2018년에는 46만여 명이 서울로 전입하고 57만여 명이 전출해 순전출 인구는 11만 명이었다. 서울에서 순전출이 가장 많은 곳은 경기도(13만5216명)였고, 서울시로 순전입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상도(2만5321명)였다. 경기도에서 지난해 서울로 전입한 사람이 23만 3000여 명이고 서울에서 경기도로 전출한 사람은 36만 8000여 명이었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급격한 인구변화에 따라 행정수요도 가파르게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보다 면밀한 분석을 통해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