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엔 드럼, 가을엔 K-POP…서울시, 사계절 음악축제·장르별 4대 음악거점 조성

입력 2019-09-16 11:15

한국은 세계에서 6번째로 큰 음악시장이 형성된 음악강국이자 아시아 최초로 미국 빌보드 메인차트 1위에 오른 방탄소년단(BTS)으로 대표되는 K-POP의 본고장이다. 특히 서울은 K-POP 콘서트를 비롯한 국내 음악공연의 77%가 열리고 음악 관련 기업 62.3%가 집결된 국내 음악시장의 중심이다.

K-POP의 인기는 음악에서 그치지 않고 K-FOOD(음식), K-FASHION(패션), K-BEAUTY(미용) 등으로 확장돼 산업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서울시가 이렇게 다양한 음악자원을 시민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향유할 수 있도록 돌려주고, 매력적인 관광 경쟁력으로 만들기 위해 종합지원에 나선다.

서울시민과 국내‧외 관광객 누구나 1년 365일 서울의 다양한 장소에서 음악공연을 관람하고 사계절 내내 음악축제를 만날 수 있는 ‘글로벌 음악도시’로 만드는게 목표다.

우선 봄에는 드럼, 여름에는 국악, 가을에는 K-POP, 겨울에는 클래식 등 계절별 대표 음악축제를 연중 개최한다. 특히 대규모 K-POP 축제인 ‘2019 서울뮤직페스티벌’(9.28~10.6)을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처음으로 열어 전 세계에서 찾아오는 서울의 대표 축제로 만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사계절별 대표 음악축제는 총 6개가 열린다. 기존 ‘서울드럼페스티벌’(5월·봄)과 ‘인디음악축제’(9~10월·가을)와 함께 여름에는 ‘서울국악축제’(6월)와 ‘한강썸머 뮤직페스티벌’(8월), 가을엔 ‘서울뮤직페스티벌’(9~10월), 겨울엔 ‘서울클래식음악축제’(11월~12월)가 새롭게 선보인다. 올해는 ‘제1회 서울국악축제’(9.6.~29. 서울광장 등)와 ‘제1회 서울뮤직페스티벌’(9.28.~10.6. 광화문일대)을 우선 개최한다.

서울의 음악산업 성장을 뒷받침하는 장르별 4대 음악거점도 조성한다. 이달 중 새롭게 선보이는 ‘노들섬 복합문화공간’(생활음악)을 시작으로 창동 서울아레나(K-POP, 2023년), 서남권 대공연장(2024년), 서울클래식홀(클래식, 2024년)이 차례로 문을 연다. 우리 국악의 창작활동과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서울국악센터’(2022년), 홍대에 뿌리를 둔 인디음악의 제작‧유통‧마케팅을 지원하는 ‘서울인디음악지원센터’(2022년)도 생긴다.

또 음악이 특별한 사람만의 것이 아닌 모든 시민의 일상이 될 수 있도록 집 근처에서 악기를 배우고 연습공간을 빌릴 수 있는 ‘생활문화지원센터’가 2023년까지 4배 가량 확충된다.

일상에서 즐기는 음악공연도 확대된다. 매년 100여 개의 열린공간에서 다양한 음악공연과 퍼포먼스를 선보여온 ‘서울거리공연’은 내년부터 ‘서울365 거리공연’이라는 이름으로 새단장한다. 참가 공연팀(200팀→220팀)과 공연횟수(2300회→3750회)를 모두 확대한다.

매년 5~10월 주말 북촌한옥마을 등에서 진행되는 ‘한옥명소 국악공연’(50회→100회), 평소 공연장을 찾기 힘든 문화소외시민을 위해 시민 가까운 곳으로 찾아가는 ‘서울시향 우리동네 음악회’(42회→63회), 4~10월 서울광장 특설무대에서 열리는 ‘문화가 흐르는 서울광장’ 시민참여공연(8팀→40팀)도 각각 확대 운영한다.

아울러 ‘음악’이 새로운 관광 콘텐츠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축제, LP바, 클럽, 펍 등 서울 전역의 음악명소 50곳, 해외 K-POP 팬 타깃 투어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발굴해 홍보한다. 내년 6월에는 전 세계 70여 개 도시의 음악 전문가가 서울에서 ‘음악도시’를 화두로 머리를 맞대는 ‘뮤직시티즈컨벤션’(MCC)을 처음 개최하고 세계 최대 월드뮤직 행사인 ‘워매드’(WOMAD)의 서울 유치도 추진한다.

서울시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을 16일 발표했다. 올해부터 5년 간 총 4818억원을 투입해 3대 목표 9개 과제를 추진한다.

유연식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 기본계획은 서울을 1년 365일 음악이 흐르는 도시로 만들어 시민에게 문화향유권을 돌려주고, 관광객 유치효과를 높이고, 나아가 음악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기업유치 등 산업 간 시너지를 유도하기 위한 종합계획”이라며 “서울시민이 언제 어디서나 일상에서 음악을 누리고, 음악이 서울을 대표하는 경쟁력 있는 문화콘텐츠 중 하나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