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지지통신에 따르면 일본 환경성 하라다 요시아키(原田義昭) 환경상(환경부 장관)은 이날 국무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방출되는 방사성 물질인 트라이튬을 포함한 처리수에 대해 “(태평양 바다에) 방출해 희석하는 방법 밖에 없다”고 말했다.
하라다 장관은 이어 “앞으로 정부 전체에서 신중하게 논의할 계획이므로 아직 최종 결정된 것은 아니다”라면서 “원자력규제위원회 위원장도 과학적으로 괜찮다고 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염수가 방출되면 방사능 오염이 태평양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국가가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만 했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의 숀 버니 수석 원자력 전문가는 지난 8월 12일자 이코노미스트에서 ‘일 방사성 오염수에 한국 노출 위험 커져’ 제목의 기고문을 통해 일본이 후쿠시마 제1원전의 오염수 방출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숀 버니는 “도쿄전력은 지난 8년간 오염수를 처리하려고 애썼지만 번번이 실패했다”면서 “후쿠시마 원자로 노심이 녹아내리면서 고준위 방사성 물질(용융 핵연료) 880~1140t이 생겼다. 지하수가 원자로에 들어가 용융 핵연료에 노출되면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로 탈바꿈하는데 이 탓에 100만t 이상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가 생겼다”고 설명했다.
숀 버니는 “아베 내각은 오염수 위기에 한마디도 꺼내지 않고 있다”면서 “불리한 뉴스가 나오면 아예 침묵한다. 모래 더미에 얼굴만 처박고 있으면 주변의 위협이 사라지리라 기대하는 타조 같다고나 할까”라고 비난했다.
가장 큰 문제는 일본의 오염수 방출을 막을 구체적인 방법이 없다는 점이다.
숀 버니는 “국제해양투기방지협약이 있지만 후쿠시마처럼 육상에서의 방사성 오염수 방출에 나설 경우 막지 못한다”면서 “도쿄전력은 2021년 용융된 핵연료를 제거하기 시작해 2031년 완전히 없앤다는 계획을 발표했다지만 이는 환상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후쿠시마 제1 원전 오염수에 대해 아베 내각이 침묵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처사”라면서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의 태평양 방류를 막아야 한다. 후쿠시마 주민뿐만 아니라 한국인은 방사성 물질에 오염되지 않은 안전한 환경에서 살 권리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호소했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제1원전 부지 내 오염수 저장 탱크는 2022년 여름쯤 포화상태에 이를 전망이다. 도쿄전력은 오염수를 정화하면서 발생한 처리수의 90%는 인체에 해가 없다면서 바다에 방류하길 바라고 있다. 그린피스는 그러나 일본의 이 같은 행위는 한국을 비롯한 태평양 연안 국가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범죄 행위이며 환경재앙이라고 보고 강력 반발하고 있다.
김상기 기자 kitt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