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청년들이 ‘청년들의 정책결정절차 참여확대’ ‘중앙과 지방간 협업 강화’ 등을 효과적인 청년정책 추진을 위한 방안으로 제시했다.
경기도는 전날 경기도여성비전센터와 의정부시청에서 경기도 청년을 대상으로 ‘청와대 청년소통정책관과의 소통간담회’가 열렸다고 10일 밝혔다.
경기도에 따르면 소통간담회는 여선웅 청와대 청년소통정책관이 주재했다.
청년들은 먼저 정책결정절차 참여 확대를 주장했다.
A씨는 “지역별 청년 수요와 격차를 고려해 지자체가 자율적으로 소통, 참여기구를 운영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B씨는 “청년들이 피력한 의견이나 정책 제안에 정확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C씨는 “청년정책위원회 참석 등 의제발굴 절차에 참여할 경우 활동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또 중앙과 지방 간 협업의 필요성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다.
D씨는 “중앙부처,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가 각기 경쟁하기 보다는 각자의 역할을 명확하게 분담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E씨는 “중앙·광역자치단체는 집행보다는 지원 역할을 담당해야 하며, 집행은 기초자치단체를 통해 추진되는 체계가 갖춰져야만 청년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개진했다.
이에 대해 여 청와대 청년소통정책관은 “효과적인 청년정책이 되기 위해서는 ‘청년을 위한 정책’이 아닌 ‘청년에 의한 정책’이어야 한다”며 “정책을 기획, 수립하는 단계에서부터 청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소통채널과 참여기구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화답했다.
김동환 경기도 청년정책관은 “중앙부처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청년정책이 추진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청년세대연구회 회장인 신정현 도의원도 “청와대 내에 청년정책전담기구가 설치된 것은 청년들의 목소리가 지역에서부터 전달됐기 때문”이라며 “오늘 간담회를 통해 제안된 청년들의 목소리가 청년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간담회에는 청년활동가와 청년단체, 마을활동가 등 경기지역 청년 70여 명이 참석했다.
정부는 청년과의 소통 강화 및 청년문제 해결을 도모하고자 지난 6월 대통령비서실 내 청년소통정책관을 신설·임명한데 이어 7월에는 국무조정실 산하에 청년정책을 총괄·조정하는 청년정책컨트롤 타워인 ‘청년 정책추진단’을 신설·운영하고 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