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학 부설 인문사회 연구소 74곳이 정부로부터 최장 6년간 평균 2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10일 ‘2019 인문사회 연구소 지원 사업’ 신규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이 사업은 연구소의 특성화·전문화를 통해 우수한 연구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1980년부터 이어져 온 사업이다. 선정된 연구소에는 최장 6년(3+3년) 동안 연평균 2억원씩 연구비가 지급된다.
올해 신규 선정된 연구소는 전략적지역연구형 4곳, 순수학문연구형 35곳, 문제해결형 15곳, 교육연계형 20곳 등 74곳이다. 앞서 교육부는 인문사회 연구소를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신흥지역연구·토대연구·대학중점연구소 등 3개였던 지원사업을 전략적지역연구형·순수학문연구형·문제해결형·교육연계형 등 4개로 재편했다.
전략적지역연구형은 신북방·신남방 정책 등 국가 전략 차원의 지역학 연구와 전문가 육성을 목적으로 한다. 경희대 한국고대사·고고학 연구소, 서강대 동아연구소 등이 선정됐다. 순수학문연구형은 인문사회 기초학문 분야와 해외학술서 번역, 관련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등이 목표다.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고려대 한자한문연구소 등이 선정됐다.
문제해결형은 국가·사회가 직면한 문제에 인문사회적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소다. 건국대 이주·사회통합연구소, 선문대 글로벌지속가능발전 경제연구소 등이 뽑혔다. 교육연계형은 대학 혁신을 지원하거나 초·중등 교육과정·교재 개발 등을 한다. 중앙대 다문화콘텐츠연구원,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등이 선정됐다.
정부는 대학 외 연구소로 지원을 확대했다. 올해 신규 선정된 74곳 가운데 사단법인 정암학당과 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 등 2곳이 대학 바깥 연구소다.
사업 예산은 지난해 373억원에서 올해 502억원으로 늘었다. 지난해 지원받았던 110곳 중 13곳은 지원이 끝났고, 신규 74곳이 추가되면서 올해 모두 171곳이 지원을 받는다. 교육부는 올해 신규 선정 조건으로 박사급 학문후속세대를 최소 2명 이상 채용토록 했다. 이른바 ‘강사법’ 여파로 일자리 구하기 힘들어진 박사급 인력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