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서울대 인턴십 제도 손본다… “대학본부서 통합 관리”

입력 2019-09-10 05:00

서울대가 단과대별로 운영되는 인턴십 프로그램을 대학본부 차원에서 통합·관리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조국 법무부 장관 아들의 서울대 공익인권법센터 인턴증명서가 허위 발급됐다는 의혹이 불거지자 제도 개선에 나선 것이다.

서울대는 9일 관악캠퍼스에서 회의를 열어 인턴십 제도 개선 문제를 논의했다. 서울대 관계자는 국민일보 기자와 만나 “대학본부에서 공식 증명서를 발급해 인턴 대상자와 추천자 등에 대한 정보를 기입하고, 이를 위법하게 활용할 경우 민형사상 처벌은 물론 학교 자체 조사를 통해 징계하는 방안이 거론됐다”고 말했다.

서울대는 총장 직인이 들어가는 공식 인턴 프로그램이 없다. 서울대 측은 “행정 주체가 단과대로 분산돼 있어 어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지, 인원은 얼마나 되는지 따로 파악하고 있는 게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조 장관 자녀들의 석연치 않은 인턴 경력으로 제도 운영의 허점이 드러난 이상 본부 차원에서 증명서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조 장관 딸의 부정 입시 및 장학금 부당 수령 논란, 경력 부풀리기 의혹 등이 불거진 서울대와 고려대 부산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등 관련 기관은 자체 진상조사에 손을 놓은 상태다. 이들은 ‘검찰 수사 사안’이라는 점을 들거나 다른 학교들의 조치가 확정돼야 움직일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노심초사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가장 관심이 쏠린 곳은 고려대다. 대한병리학회는 지난 5일 조 장관 딸이 고려대 입시 자기소개서에 제1저자로 등재됐다고 언급한 의학논문을 직권 취소했다. 고려대 규정에는 입시 서류를 허위 기재하면 입학 허가를 취소한다는 내용이 명시돼 있다. 고려대 입학이 취소되면 서울대 대학원, 부산대 의학전문대학원 입학까지 줄줄이 취소된다. 고려대 관계자는 “검찰 수사결과가 나오면 이에 따라 입학 취소 관련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부산대 의학전문대학원은 ‘고려대 결정을 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부산대 관계자는 “섣불리 무엇을 검토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고 말했다. 서울대 총동창회 관악회 역시 당초 “자료 보존기한이 지나 장학금 지급 경위를 알 수 없다”고 하다가 검찰 압수수색 뒤에는 기자들의 연락을 피하고 있다. KIST 관계자도 “조 장관 딸에게 인턴 증명서를 발급해준 연구원이 연구원에 한 해명과 검찰에서 한 진술이 다르다”며 말을 아꼈다.

당초 이날 총장 명의 표창장 위조 여부에 대한 진상조사 결과를 발표하기로 했던 동양대는 “일부 서류가 검찰로 이관됐고 당시 근무했던 교직원도 퇴직한 상태여서 물리적 한계에 봉착하고 있다”며 발을 뺐다.

황윤태 안규영 방극렬 기자 truly@kmib.co.k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