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 한국 외교 결례’ 통했나… 산케이 “고노 외무상, 방위상 임명”

입력 2019-09-08 14:55 수정 2019-09-09 13:24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이 지난달 22일 한국 정부의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결정 발표 후 기자들의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이 다음 주로 예정된 내각개편 때 방위상으로 기용될 수 있다는 현지 보도가 나왔다. 일본의 ‘경제보복’ 결정 과정에서 완전히 배제되는 등 교체설이 나왔지만, 외려 방위상으로 자리만 옮기게 되는 것이다. 고노 외무상은 개각을 의식해 한·일 갈등 국면에서 여러 차례 외교 결례 논란을 일으켰다는 분석이 나온 바 있다.

일본 산케이신문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오는 11일 단행하는 개각에서 고도 외무상을 방위상으로 임명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8일 복수 정부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산케이신문은 아베 총리가 친(親) 아베 성향의 극우 신문으로, 지난 7월 1일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강화 발표 전날에도 수출규제 소식을 먼저 보도한 바 있다.

신문은 “고노 외무상은 이른바 징용공(강제징용 피해자) 소송을 둘러싸고 한국 정부에 국제법 위반 상태 시정을 계속 요구했다”며 “아베 총리는 (고노 외무상의) 의연한 대응을 평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고노 외무상이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등과 두터운 신뢰관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도 고려됐다고 한다.

한·미·일 동맹 강화를 위한 목적이라는 분석도 있다. 산케이 신문은 “한국 측은 지난달 일본과의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GSOMIA)을 파기하기로 결정했다”며 “고노 외무상의 방위상 기용은, 불협화음이 눈에 띄고 있는 일·미·한의 안전보장협력의 강화를 도모하는 목적도 있다”고 설명했다.

고노 외무상은 지난 7월19일 남관표 주일 한국대사를 초치한 자리에서 말을 끊고 “무례하다”고 말하는 등 외교 결례 논란을 일으켰다. 지난달 27일 기자회견에서는 “한국이 역사를 바꿔 쓰고 싶다고 생각한다면 그런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필요가 있다”고 망언을 하기도 했다.

고노 외무상은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담화’의 주인공 고노 요헤이 전 관방장관의 장남으로 당초엔 대표적 지한파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최근 그의 행보는 개각을 앞둔 것이라는 분석이 많았다. 그의 방위상 임명도 향후 지소미아 대응, 한·미·일 안보협력을 둘러싸고 일본이 강경 노선을 이어가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볼 수 있다.

고노 외무상의 후임으로는 모테기 도시미쓰 경제재생상이 기용될 것으로 일본 언론들은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한국에 대한 경제보복 조치를 주도한 세코 히로시게 경제산업상은 자민당 참의원 간사장에 기용될 전망이다라고 일본 NHK방송이 전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